40대 중반인데 필수로 알아야 할 재테크는?
이제 40대 중반인데 필수로 알아야 할 재테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부동산이나 주식 관련책은 꾸준히 보는데 뭔가 바뀌는것이 없는 것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 중반에는 노후 준비를 본격화해야 하므로, 주식이나 채권 외에도 연금저축과 IRP같은 절세형 금융상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라고 하면 무조건 개인연금은 갖고 있어야 합니다
최근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점차 늦어지면서 70살까지 되어야 수령이 가능하다는
말도 나오고 있는 만큼 50대부터는 각자도생의 길이 펼쳐지게 됩니다
따라서 하루 빨리 개인연금을 가입하시고 건전재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40대 중반쯤 되면 부동산이나 주식을 통한 재테크에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될 때입니다. 하지만 책만 본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고 실제로 투자를 시작해야 변화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 중반에는 수익보다는 안정과 목표자산관리가 핵심입니다. 자녀교육비, 노후 준비, 주택 대출 상환 등 재무 이벤트가 본격화되기 시작하는 시기 입니다. 따라서 고수익보다는 리스크 분산과 자산 배분이 중요합니다.
부동산, 예적금, 주식, 채권, 펀드, 연금저축 등 균형있게 배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 중반이라면 안정적인 투자를 지향하실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자녀를 키우며 이제 신규떄와 퇴직떄를 비교했을떄 퇴직때가 가까워지니 이러한 것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럴 경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를 하시거나, 채권에 대한 투자를 하시거나, 또는 파킹통장에 대한 것을 알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러한 금리의 경우 인터넷 사이트의 모네타를 검색해서 들어가신다면 다양한 은행들의 금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 중반이시면 노후 대책을 위한 연금 및 세금 관련 공부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상품을 가입해놓느냐에 따라서 연금 수령 금액과 방식 등이
다르고 절세를 할수 있는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이보다 중요한 것이 현재 본인의 자산에 따른 재테크를 찾는 것 입니다.
자산이 1억미만이라면 우선 시드를 1억정도로 만드시는 것이 중요하며 주식으로 시작해 금액이 커지면 부동산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 중반이면 자산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키는 쪽도 같이 봐야 하는 시기입니다. 수익률 높은 것만 좇다간 변동성에 휘둘릴 수도 있어서요. 연금저축이나 IRP 같은 세액공제 되는 상품은 기본으로 깔고 가는 게 좋고, 실손보험이나 장기요양 대비도 한번쯤 점검해보셔야 합니다. 부동산은 실거주 외엔 유동성 묶일 수 있어서 무턱대고 들어가긴 어렵고요. 주식도 너무 공격적으로 하기보다 ETF 같은 거로 분산하는 전략이 낫습니다. 재테크라기보단 돈 쓰는 구조부터 다시 정리해보는 게 체감 효과는 더 큽니다.
40대 중반이라면 자산을 불리는 것과 지키는 것을 동시에 고려하는 재테크 전략이 중요합니다.
첫째, 노후 준비를 본격화해야 하므로 개인연금, 퇴직연금(IRP) 국민연금 점검은 필수입니다.
둘째, 자산 규모가 어느 정도 쌓였다면 세금 전략과 분산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셋째, 부동산이나 주식 외에도 ETF, 리츠, 달러 자산 등 대체투자도 고려해보세요.
넷째, 가계부와 현금흐름 관리를 통해 지출 구조를 다시 정리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꾸준한 공부와 함께, 포트폴리오 점검 및 리밸런싱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핵심입니다.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40대의 경우 슬슬 노후를 준비하셔야할 나이대입니다.
연금저축이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월배당 ETF 등에 관심을 두시는게 좋으며 상황상 안정적인 투자처에 투자하시는게 좋습니다.
안전자산 위주로 투자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