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류를 먹지 않으면 양치가 필요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만갑 프로그램을 보다가 북한에는 설탕도 귀해서 당을 안 먹고 양치도 안 했는데 치아가 건강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당을 안 먹으면 충치 방지를 굳이 안 해도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
당은 설탕이 아니라 밥과 과일같은 음식에도 들어있어요.
저도 치과에서 근무하다보면 위생관리가 전혀 안되는데 충치가 없는 분들을 아주 가아끔 봐요.
조금 신기하긴 하지만 그런 분들은 치아대신 잇몸이 안좋더라구요. 30대까진 잇몸뼈가 불편함을 느낄정도로 녹진 않더라도 그게 누적이 되고 계속 관리가 안되면 나중엔 잇몸때문에 멀쩡한 이를 빼게 되기도 해요.
그리고 설마 그 북한분이 이를 정말 하나도 안닦았겠어요?방송이니 과장해서 말한걸 수도 있고 옛날 어른들처럼 소금우로라도 문질렀겠죠..정말 하나도 안닦았다면 너무 냄새가 나서 사회생활이 어려웠을꺼예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당분은 주된 원인이지만 음식물이 있는 것 자체로 충치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음식을 드시면 양치를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충치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음식이 당성분이지 당성분만이 충치를 발생시키는건 아닙니다. 음식등이 치아에 남게되면 이또한 충치를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직접적으로 당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충치 가능성은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음식의 당이 없더라도 분해되어 당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들이라면 충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을 먹지 않아도 당으로 전환되는 음식을 드시거나 구강 내 산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을 드셨다면 양치하는 것이 맞습니다. 일반 사람들은 이를 구분하거나 성분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음식 섭취 후 양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당을 먹는 횟수가 줄어들면 충치가 생길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는 탄수화물또한 구강내에 오래 남아 있게 되면 분해가 되면서 당이 되기 때문에 당분이 있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고 충치가 생기지 않는것은 아니에요.
음식을 먹고나면 칫솔과 치실을 이용해서 치아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플라크를 이루고 있는 세균이 입 안에 남아있는 당분을 이용해 만들어낸 산이 치아의 손상을 일으켜 충치를 발생하게 됩니다.
당분이 없으면 충치는 안생길수 있지만
양치를 안하면 잇몸질환, 구취유발을 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