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1.11.13

우리나라 국화는 왜 무궁화 인가요?

여러가지 꽃 중에 우리나라 국화는 왜 무궁화 인건가요??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우리나라 국화가 무궁화로 지정된 이유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혹적인까치278입니다.

    1. 우리나라의 국화는 무궁화이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아닐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법전엔 대한민국 국화 = 무궁화 라는 말이 없기 때문입니다.

    2. 다만 1번의 이유에도 불구하고 관습법상 우리나라의 국화는 무궁화가 맞습니다.

    3. 무궁화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먼 옛날, 신라시대에도 고위관료의 외교문서에서 무궁화=신라를 대표하는 꽃 이라고 불렸을정도로 그 전통을 자랑했고.

    조선시대에서도 한반도를 대표하는 꽃으로 자주 불리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전통이 인정되어 우리나라의 국화=무궁화가 된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호기로운바다꿩192입니다.

    대한민국의 정식적은 국화는 없습니다.

    하지만 무궁화가 국화로 불리게된 이유는

    1896년 독립문의 주춧돌을 놓을때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를 넣으면서 '나라꽃'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잡지식왕입니다. 술한잔하고왔어요님이 우리나라 국화에 대해서 질문 주셨네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는 법으로 정한 정식 국화가 없습니다. 무궁화는 단지 역사적으로 '근화향'이라 불릴만큼 무궁화가 우리나라에 많이 자랐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궁화를 좋아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무궁화는 우리나라 꽃'이란 인식이 심어진 것입니다. 무궁화는 그냥 오랜 시간을 우리민족과 함께해오면서 자연스레 국화로 된 것이지요. 그리고 무궁화의 원산지는 중국과 인도 등지입니다. 신라의 혜공왕 때와 고려 예종 때에는 외국에 보내는 국서에서 우리 나라를 '근화향'이라 표현할 만큼 무궁화가 많이 피어 있었습니다. 이홍직의 [국어대사전]에 "무궁화는 구한말부터 우리 나라 국화로 되었는데 국가나 일개인이 정한 것이 아니라 국민 대다수에 의하여 자연발생적으로 그렇게 된 것이다. 우리 나라를 옛부터 '근역' 또는 '무궁화 삼천리'라 한 것으로 보아 선인들도 무궁화를 몹시 사랑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1928년 발행된 [별건곤] 3권 2호에 게재된 <조선산 화초와 동물>편에는 "조선민족을 대표하는 무궁화는 꽃으로 개화기가 무궁하다 아니할 수 없을 만치 참으로 장구하며 그 꽃의 형상이 엄연하고 미려하고 정조있고 결백함은 실로 민족성을 그리여 내었다. 한국을 막론하고 각 민족을 대표하는 꽃이 있지만 우리를 대표하는 무궁화 같이 형으로나 질으로나 적합한 것은 볼 수 없다"고 실려 있습니다. 이는 우리 민족이 많이 심고 가꾸었을 뿐 아니라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는 꽃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답변에 충분한 도움 되길 바라고 답변 채택 부탁 드립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무궁화는 애국가에도 등장하는 우리 국민은 누구나 인지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화(國花) 입니다.

    나라꽃인 국화는 법령으로 제정한 나라들도 있으나 그 나라의 자연·풍토·역사·문화와 관련이 깊은 식물이

    자연스럽게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의 국화인 무궁화가 법령으로 제정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정해진 경우지요.

    한국의 국화인 무궁화는 옛날부터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었으며 꽃이 아름답고 꽃피는 기간이

    길어 우리 민족의 오랜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그리하여 한국을 근역(槿域) 곧 무궁화의 나라로 일컫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