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엄청난두더지30
엄청난두더지3021.12.24

치료제가 아직 출시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요?

아직 치료제가 출시되지 않았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 한다면 코로나에 감염될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인가요?

지금까지는 치료제 없이 치료를 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코로나 치료제가 공식적으로 없는 게 맞습니다.

    다만 치료제가 없다고 치료법이 없는 건 아닙니다.

    무슨 말이냐면 코로나로 인한 증상이 바이러스성 폐렴이기 때문에

    환자의 면역력을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치료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바이러스 칵테일 요법, 인공호흡기 치료 등 간접적인 요법을

    실시하면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며 치료를 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현재까지의 치료는 증상에 맞추어 치료를 하는 대증치료 위주로 시행합니다. 쉽게 말하면 열이 나면 해열제를 사용하고, 콧물이 나면 콧물약, 기침이 나면 기침약을 복용하는 것입니다. 이상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으나 콧물이나 기침이 심하지 않도록 조절하여 폐렴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해열제로 발열을 조절하여 두통 및 전체적인 컨디션의 지나친 저하를 막을 수 있습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에도 대증치료를 시행합니다. 그러한 것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현재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품목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몰누피라비르' 입니다.

    두 치료제는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복제되는 것을 방해해 감염자가 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예방합니다.

    정부는 고위험·경증·중등증 입원환자는 병원에서 처방·조제해 투여하고, 재택치료자에게는 사전 지정한 약국 등에서 집으로 배송받아 투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치료제는 출시되어 있고 활발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코로나에 감염되면 중증환자의 경우 렘데시비르와 스테로이드를 병용하여 사용하고 있고 있습니다.

    렘데시비르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이거나, 폐렴증상이 있는 경우 우리나라의 셀트리온에서 개발한렉키로나주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백신보다 치료제가 먼저나왔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100% 코로나에 대처가 되는건 아닙니다. 머크사의 치료제는 실제 그 효능이 30%로 많이 낮춰진 상태입니다. 화이자의 치료제는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을 차단해서 마찬가지로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아줍니다.

    또한 약제 부작용이 아직 완전히 알려진것도 아닙니다. 심각한 부작용이 생겨서 사용중단 될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증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감기와 같이 사람마다 증상이 다릅니다.

    감염된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대증치료를 하게 되며 이 치료 방식도 중증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26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머크사에서 개발한 경구치료제는 기대에 미치지 않는 효과를 보이며 부작용이 많아 현재 효과적으로 코로나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없는 상태입니다. 향후 화이자사의 경구치료제에 대해 기대해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기존의 방식은 폐렴에 일반적인 경구약물을 주로 처방해 치료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대중치료를 하게 되고 증상이 심한 경우 입원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일단 증상에 따른 치료를 우선적으로 하고 항바이러스제 등을 투입하여 치료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추가되는 코로나 치료제 등이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는 더 많은 치료 방법이 생겨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확진자로 판정되더라도 코로나19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폐렴의 항생제 같은 약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무증상 혹은 경증일 경우 입원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감염 후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경과를 관찰하며 경과 관찰 중 의식혼탁, 고열의 지속, 호흡 곤란등의 징후가 보이거나 고위험군일 경우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입원을 하는 목적은 면역억제제나 항바이러스제 등의 투여로 중증 진행을 막고 필요시 기계환기를 통하 호흡보조요법을 위한 것입니다. 현재까지 아직 정식승인되어 코로나19에 사용중인 약물은 없으나 최근 머크, 화이자사에서 치료제를 개발하여 임상시험중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코로나에 감염되더라도 크게 2가지로 분류됩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자가격리를 실시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생활집중치료센터로 옮겨지게 됩니다.

    생활집중치료센터에서는 증상에 따라 다양한 치료를 하며 항바이러스제 투여 및 렉키로나 등의 중화항체로 치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최근 뉴스 기사에 따르면 머크사와 화이자사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치료제가 미국에서 최종 승인이 되고 실제 사용이 될 예정입니다. 아직 일반 인구에서 사용이 시작되고 통계가 충분히 쌓이지 않아 약물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임상 실험에서는 유의하게 바이러스의 치명률을 낮추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치료제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뤄질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치료제 없이 치료를 하여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내년 2월에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타이레놀 복용하시면서 자연치유를 기다리거나

    항체치료나 주사를 맞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렘데시비르와 렉키로나주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의 선두주자는 미국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입니다.

    로슈와 화이자 등 다국적 제약회사들도 3상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로슈사는 AT-527

    화이자 사는 PF-07321332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치료제는 있습니다.

    다만 병원에 입원한 환자분들중 중증의 환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주사제입니다.

    경증의 환자들의 경우 그냥 증상완화제를 투여하면서 자연치유를 할겁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항바이러스제는 보통 바이러스의 복제 및 생성을 방해함으로써 활동을 줄이게 만드는 원리로 개발이 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로 변이가 생성되도 복제및 활동하는 원리를 알게 된다면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는 치료제가 상용화 되어 나온 것은 없으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시 보이는 증상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현재 화이자와 머크사에서 치료제가 허가가 났기에 곧 상용화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치료는 경증의 경우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를 합니다. 즉 열,통증,호흡기증상 등에 대한 대응 치료를 합니다. 치료제의 경우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현재는 상용화되고 있는 코로나 치료제가 있지 않으며 코로나 감염시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 대증적인 방법으로 처치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코로나 환자의 경우 현재까지 치명률을 개선하는 약물 치료로는 덱사메타손, 램데시비르, 토실리주맙등이 있습니다. 위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표준치료방법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무증상이거나 경증인 경우에는 자택에서 자가격리를 하시며 치료를 받으시게 됩니다. 보통 이 경우에는 따로 약물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치료기간은 확진 후 10일가량 치료를 받으시게 됩니다.

    중증인 경우에는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으시며 의사의 진단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나 중화항체치료제를 투여될 수 있습니다. 치료기간은 중증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