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컨의 원리와 신호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티비, 에어컨 등에서 사용하는 리모컨이 거리에 따라서 작동 여부가 다르잖아요. 일괄적인 거리가 아니고 리모컨 마다 인식 거리가 다르며, 신호가 강하면 멀리서도 작동 되는 만큼 인체에는 전혀 영향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신호에 대한 송수신 원리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은 버튼에 따라 각기 다른 적외선 신호를 발생 시킵니다. 이 적외선 신호를 리모컨에서 TV로 보내고, TV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버튼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여 반영해주는 원리입니다.
적외선은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우리도 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에서 나오는 빛이 적외선입니다. 또한, 적외선은 낮은 전압에서 구동해 출력을 높일 수 있어 효율적이기에 사용됩니다. 리모컨의 앞부분에 적외선이 나오는 LED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우리눈은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볼 수 없지만 핸드폰 카메라로 이를 비춰보면 반짝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핸드폰 카마레에서 적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으로 표현해주기 때문에 보실 수 있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은 전자기파 중에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리모컨을 누르면 각 버튼에 맞는 주파수의 적외선이 나와서 이를 tv에서 인식하고 동작합니다. 약한 적외선이라 인체에 크게 유해하지는 않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일반적인 리모톤은 리모콘의 앞부분에서 적외선 센호가 나와서 장비를 작동합니다. 하지만 이경우 장비에 잘 들어가게 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하지요. 최근 티비 셋톱이나 샤오미 선풍기 리모콘같은 것은 블루투스 리모콘으로 나옵니다. 블루투스 리모콘은 굳이 기기에 맞추지않고 그냥 눌러도 잘 신호가 갑니다. 블루투스 이어폰 처럼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흔히 쓰는 리모콘은 적외선을 방출하여 신호를 송수신합니다.
하지만 요즘 IoT는 아예 처음부터 기기를 설치할 때 와이파이를 연결해두고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로 제어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어떤 방식이든 인체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은 적외선 파장의 빛을 쏘아 정보를 전달하고 받습니다.
적외선은 에너지가 적기때문에 인체에 영향이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