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떡뚜꺼삐
떡뚜꺼삐23.03.17

리모컨(remote control)은 기기나 장치를 등지고 눌러도 왜 작동이 될까요?

리모컨에서 나가는 전파(?)는 직선으로 나갈텐데 리모컨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기기나 장치(TV. 자동차 등)에 신호를 보내면 기기나 장치를 향해서 보이지 않는 전파(?)가 직진할텐데 해당 기기나 장치를 등지고 눌러도 기기나 장치가 작동하는 이유가 매우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나 전파가 직진성을 띠기도하지만, 구조물을 돌아가거나 반사되는 특성도 있기때문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파는 지향성 신호가 아니고 무지향성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즉 직진으로 발사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은 기기나 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자기기입니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에는 일련의 버튼이 있으며, 각 버튼은 다른 주파수와 신호를 생성합니다.

    리모컨의 작동 원리는 대부분 적외선(IR) 기술을 사용합니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면 내부 전자회로가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는 적외선(IR) 발광 다이오드(LED)로 전송됩니다.

    수신기(기기나 장치)는 이 적외선(IR) 신호를 받아들여서 해당 신호가 어떤 동작을 수행하는지 해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때 수신기와 리모컨 간에 일종의 "암호화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다른 리모컨이나 노이즈 등의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모컨은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내부 전자회로가 해당 신호를 생성하여 적외선(IR)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기나 장치가 신호를 해석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는 원리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각 버튼이 있다면 그것이 사용자 입력으로 가해집니다.

    위쪽에 X1 X2에 연결된 것이 기준 신호(hz 주파수)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눌러진 버튼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는 주파수가 DOUT에 연결된 적외선 발신 다이오드에 전달되면 그 신호를 적외선으로 쏘아 줍니다.

    이것을 받은 TV나 다른 것은 이 신호를 감지하고 그 주파수(hz)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합니다.

    리모콘에 버튼을 추가하려면 일단 추가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에 의해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기기에서 해석되고 수행기능으로 연결되어 동작되어야 합니다.

    적외선 리모콘이 반드시 주파수에 의해 동작되는 것은 아니고 때로는 주파수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명령어와 시킬수도 있지만 이것은 회로나 부품, 프로그램 비용이 들게 되고 주파수 방식에 비하여 오류도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TV리모콘 같은 것들은 주파수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블루투스나 RF 같은 방식은 송수신을 데이터로 하기 때문에 최근에 사용할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 방식이지만 이 자체가 인식/권한/페어링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에 의해 손쉬운 사용을 되지 못하고 관련 부품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역시 TV와 같은 곳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링크해 드린 회로도는 아주 간단한 형태 입니다. 그리고 제가 거론한 부분 이외는 큰 역할이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적외선 방식의 리모콘은 함수가 전달되는 것이 아닙니다. 주파수가 전달되고 받는 측에서 주파수에 따라 해야할 작업이 정해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프로그램밍은 받는 측에서 적용하는 부분이 되겟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으로 전파가 전송될 때는, 전파는 직선으로 나가지만, 전파는 주변의 물체나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감쇠" 또는 "흡수"라고 합니다.

    리모컨은 대부분 적외선(IR) 전파를 이용하며, 이러한 IR 전파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것보다는 물체를 통과하는 것에 더 효과적입니다. 그러므로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IR 전파는 직선적으로 전달되는 것보다는 물체를 통과하여 수신기(리모컨이 조작되는 기기)에 도달하게 됩니다.

    또한, 리모컨 수신기는 전파가 도착하는 방향과 관계없이, 주변에서 들어오는 IR 전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IR 전파가 광학적으로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리모컨을 사용할 때 기기나 장치를 등지고 누르더라도 IR 전파는 장애물을 통과하여 수신기에 도달하고, 그 결과로 기기나 장치가 작동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리모컨은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외선(IR) 신호를 사용합니다. 리모컨에는 버튼을 누르면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 신호는 리모컨의 LED에서 발광하여 기기나 장치에 전송됩니다.

    기기나 장치는 리모컨의 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명령에 따라 작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리모컨의 버튼을 누를 때 등지는 압력은 전기 신호나 적외선 신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리모컨을 등지지 않고 손으로 바로 IR 신호를 보내는 경우에도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즉, 리모컨은 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으로 IR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리모컨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면, 송신기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켜서 그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됩니다.

    수신기는 이 신호를 해독하여 그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인식하고, 기기나 장치에 전달하여 작동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실제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리모컨과 기기나 장치가 서로 떨어져 있어도 작동이 가능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