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는 어떤 단계에 있으며, 재생 에너지의 보급에 어떤 도전과 가능성이 있나요?
인류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는 어떤 단계에 있으며, 재생 에너지의 보급에 어떤 도전과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별 전력발생량은 화석연료(석탄/천연가스) 60% 원자력 30% 재생에너지 10% 순서 입니다.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가동을 줄이는 것이 국내기준으로 가장 시급합니다.
사실 재생에너지의 생산은 현재로써는 투자대비 효율성은 화석연료보다 높습니다. 탄소배출량을 따져보지 않더라도 현재 세계적인 추세가 화석발전소를 가동해서 얻을 이득이 하나도 없을 정도입니다. 예전에는 값싸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었지만 기술이 발달한 지금 풍력 태양광 수력 등을 통해 동일한 비용을 투자해도 오히려 더 많은 전력을 생산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노르웨이의 경우 친환경에너지 발전량이 세계 최고 인데 에너지원별 발전량의 98%를 수력발전으로 담당합니다. 여기에서만 봐도 친환경에너지를 활요한 발전에 한계는 없음을 아셨을거라 생각됩니다.
우리나라도 정책적으로 충분히 친환경발전소를 지어 전력을 생산 할 수 있으나 여러가지 이권과 정치권의 민심과 엮여있어 풀어야할 문제가 많고 실제로 기존 화력발전이 담당하는 전력의 양이 워낙 많아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친환경발전소를 짓는데 수십조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른 전기료의 상승은 국민이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쉽게 전환을 하는 것도 많은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보통 우리 인류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 탄소 배출 권 이라는 각나라마다 협약을
맺어서 조금이나마 지구환경에 대해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 첫걸음 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까지 재생 에너지에 관해서는 많은 분야가 노력을 하고 있지만 큰 실적이 없는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