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07

왜 낙하시 바로 낙하산을 펴는게 아니라 한참 후에 펴나요?

낙하한 후에 바로 낙하산을 펴는게 아니라 한참 내려온 후에 펴잖아요?

그 이유를 물리적으로 설명해주세요!!!!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모든 물체는 떨어지게 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속력이 점점 증가하는데요.

    그 속력의 증가 정도가 1초에 9.8미터입니다.

    (이 값이 중력 가속도입니다.)

    물체가 떨어지다 보면 속력이 점점 증가하는 만큼 공기의 저항도 점점 커집니다.

    낙하산을 펴는 것은 어느 시점이냐면

    물체가 떨어지다가 점점 증가하는 양과 증가하게 되는 공기의 저항과 속력이 같아질때 입니다.

    이때를 종단 속도라고 하고요.

    종단 속도가 되면 그 이후에 낙하산을 펴고 내려오는 사람은 낙하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이 커져서 첨에 팍~ 하고 속력이 느려졌다가 떨어지는 속력보다 공기의 저항이 커진 채로 내려오니 아무런 충격이 없이 떨어질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 종단 속도가 될때까지 기다리는 겁니다.

    너무 빨리 펴면 왠종일 내려올거고 너무 늦게 펴면 속력이 느려지기 전에 떨어져서 안되겠지요.


  • 먼저 낙하산의 용도는 떨어질 때의 속도를 줄여서 안정적으로 착지하기 위함이죠? 보통 낙하를 하게되면 지면으로부터 4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뛰어내리게 되는데 뛰어내리자마자 낙하산을 펴게 되면 지면까지 가는데에 시속 30km로 가게 되어서 굉장히 오래걸리겠죠? 그러면 스카이다이빙을 취미로서 하는 사람은 그냥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는 꼴이고 고공침투의 임무를 수행하는 공군들도 위에서부터 낙하산을 펴고 내려오면 눈에 잘 띄여서 저격 당하기가 쉬워져요 그래서 낙하산은 낙하산을 펴기에 안전한 고도인 800m 지점에서 낙하산을 편답니다 4000m에서 800m까지 내려오는데 오래걸릴 것 같지만 낙하산을 펴지 않으면 시속 180km 정도의 속도부터 빠르게는 300km까지 나기 때문에 1~2분 정도밖에 걸리지가 않아요!


  • 개운한물소263
    개운한물소26320.09.08

    물론 낙하산을 바로 펴도 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른데 낙하산을 펴야되는 지저버이 있어요 거기서 낙하산을 안피면 죽겠죠 이유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속도를 못낳추고 결국 죽겠죠 이것 처럼 낙하산을 펴야되는 위치 위로는 낙하산을 펴도 상관없습니다 그치만 엄청 높은 높이에서 낙하산을 피면 엄청 늦게 내려올것이고 보통은 낙하산을 타기 위해 뛰지는 않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