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24.03.04

우리나라는 친일파를 청산에 소극적이였나요?

안녕하세요. 해방후에 친일파 청산은 소극적이였죠?

왜 이것이 적극적으로 청산되지 못했을까요??

당시 집권층이였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복 이후 남북으로 분단되고, 38도선 이남은 미군정을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미군정은 한국에 대한 사전 지식과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직접 통치에 나서면서 질서 유지 등을 명분으로 조선 총독부의 행정 체제를 활용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일제에 협력한 관료와 경찰을 그대로 등용하였습니다. 그리고 1948년 제헌국회에서 헌법에 근거하여 9월 반민족행위처벌법을 제정하고 1949년 반민족해위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친일파 처리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지지 기반이 약한 이승만 정부는 반공으로 위장한 친일 경찰 등의 권력 유지를 위해 활용하면서 오히려 반민 특위 활동을 방해하고, 결국 해산시킵니다.

    이후에 친일파와 그 후손들은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 등 여러 분야에서 지배 권력을 굳히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친일 청산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스스로 독립한 것이 아니라 미국의 도움으로 독립한 것이며

    당시 미국은 일본을 지배하고 있었고

    한국과 일본을 묶어서 소련방어선을 만들 계획이었기 때문에

    친일파 청산을 할 이유가 별로 없었습니다

    친일파란 이름답게 일본이랑 말이 잘 통하기도 했지만

    당시의 친일파란 본토에 남아서 고급 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이 대부분이었으니

    남겨두는게 국가 재건도 빠르고

    아니면 중국이나 소련에서 일하던 독립운동가분들을 받아들여야 하니까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해방 이후 반민족자처벌특별위원회(반민특위)가 결성되어 친일청산을 하고자 했으나 국내지지 기반이 없던 이승만은 친일지주와 자본가들로 구성되어 있던 한민당을 지지기반으로 삼았기 때문에 친일청산에 소극적이었으며 종국에는 반민특위를 해체시키고 말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