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어떻게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자주 "나는 못해요", "나는 바보예요"라는 말을 하고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고 실패를 극도로 무서워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어떻게 하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을까요?
아이가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자신감을 키워주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나는 못해요, 나는 바보에요'라고 말하니 속상하겠습니다.
아이의 자신감은 자존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나는 못해요"라거나 "나는 바보예요" 같은 말을 자주 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면, 부모가 따뜻하고 격려하는 태도로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데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아이가 작은 성취를 했을 때마다 그 과정을 칭찬해주세요. 결과보다는 아이가 노력한 점, 예를 들어 "열심히 했구나!"나 "계속 도전하려는 모습이 멋져!" 같은 말로 아이의 노력과 도전을 인정해 주면, 아이는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배움의 과정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실패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게, “실수는 괜찮아. 다음에 더 잘할 수 있을 거야.”라고 말해주고, 부모 스스로도 실수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는 실패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배움의 기회임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새로운 도전을 격려할 때도 큰 목표를 제시하기보다는, 아이가 무리 없이 해낼 수 있는 작고 구체적인 목표부터 시도하게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한 가지 새로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 “너가 해냈구나! 이렇게 작은 한 걸음씩 하다 보면 더 큰 일도 해낼 수 있어.”라며 긍정적으로 피드백을 주세요. 아이의 부정적인 말을 들었을 때는 그 말에 즉각적으로 반박하기보다는 "그래도 너는 ~~을 정말 잘하잖아"라며 아이의 강점을 알려주어 자존감을 높여 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가 실패를 경험하고 나서도 늘 사랑받고 지지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과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이의 자신감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이 어떻게 하냐에 따라서 자존감이 높아지고 낮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가 어릴때부터 부모님께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아이에게 사랑을 듬뿍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부모님의 사랑을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존감이 올라가면서 확신을 가지고 노력을 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실수는 배움의 기회임을 알려주세요. 실패나 실가 있더라도 괜찮아, 다음에는 더 잘할 수 있어 와 같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무리한 도전보다 작은 목표를 설정하여 성공 경험을 쌓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성취를 통해 할수 있다는 믿음이 조금씩 형성됩니다. 쉬운 퍼즐 맞추기나 간단한 집안일 돕기 등으로 성취감을 느끼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