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30

인도의 경제, 자금력이 전세계적으로 앞으로 중국을 넘을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인도의 총 인구가 중국을 넘었다는 말로는 설명이 부족합니다. 실질적으로 경제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인구가 많아야겠죠. 그리고 무역으로도 중국과의 교역량이 훨씬 크고 실 생활에서도 인도산 제품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기술보다 인도의 어떤 기술이 앞서고 있다는 뉴스도 본 적이 없는데 그럼에도 세계 경제적으로 인도가 중국을 넘어설 근거가 어떤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지훈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지훈 경제전문가23.04.30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가 미중 갈등을 등에 업고 중국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과 달리 인도는 인구가 '많다'는 것뿐 아니라 '젊다'는 것도 긍정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는 서비스가 경제의 54%, 농업 및 제조업이 각각 15%, 18%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50년 동안 아시아 각국의 성장 사례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제조업이 경제 성장의 핵심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인도에서는 서비스 분야가 전체 경제 발전 속도보다 더 빠르게 성장했다.]

    [2020년 인도 GDP는 3조 달러 수준이다.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 2010년부터 2019년 사이 인도의 명목GDP는 매년 11.8% 성장했다. 같은 기간 물가 상승을 뺀 실질GDP는 6.6% 성장률을 기록했 다. 물가 상승이 일정하고 환율이 안정적 이라고 가정할 때, 5조 달러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년 8%에 가까운 실질 성장이 필요하다.]

    출처.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중국은 2010년에 세계경제2위에 발을 디뎠습니다

    낮은 임금과 많은 인력으로 제조업에 도전하여 값싼 중국제조상품이 많은 세계에 공급되었고

    저나 저의 형도 ,형의 친구도 중국에서 수입한 물건을 국내에 유통하고 있습니다

    인구의 수는 국력을 의미하는 게 당연하고 인도같은 경우는 잠재력을 갖고 있지요

    위에 보시면 제조업비중이 많이 빠져 있고요 여성이 빠져있습니다

    여성의 경제참여율이 20프로가 안된다고 합니다 2019년기준

    최근에 알게된 인도여성은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데요 잘하더군요 한국어를 배워야 더 많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고 했고

    다른 어떤 여성은 이미 한국과 교역하는 인도회사에 다니고 있어서 한국어를 잘했습니다

    제조업과 여성의 참여만으로도 충분히 잠재력이 있어보입니다

    한국은 한국전쟁 이후 아무것도 없던 나라에서 크게 성장한 동력이 바로 일본과 미국의 지원이었죠

    많은 것을 일본에게 배워왔고 들여왔고 베껴왔습니다 . 지난 과거의 배상금까지 받아왔고 파병이라던가

    독일등 유럽에 의료 간호 광산 등등 닥치는 데로 했었죠

    지금처럼 인건비가 비싸지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겠다는 좀 오바하면 극우 ' 파시즘 '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은

    제 주변에는 없습니다. 국가보다 회사보다 ' 나 ' 라는 존재가 우선이 되죠

    지금 저희 아버지를 비롯한 70대 노인들은 거의 파시즘에 가깝다고나 할까 국가와 가족을 위해 한 몸을 희생하신 세대가 있기는 했죠

    인도에 이러한 정신이 바람이 분다면 더욱더 강력해 지지않을까요

    중국이 사회주의로 망하다가 클린턴과 손잡고 자유주의를 일부 채택하고 wto에 가입하며

    어마어마한 성장이 된것이 지금을 만든거 처럼 하나의 계기라던가 어떤 지도자의 강력한 힘으로

    미국과 대등한 외교를 할 수 있는 중국. 그 잠재력은 역시 인구라고 생각합니다 다시봐도 인구.

    [중국의 기술보다 인도의 어떤 기술이 앞서고 있다는 뉴스도 본 적이 없는데

    그럼에도 세계 경제적으로 인도가 중국을 넘어설 근거가 어떤 것인가요?]

    위에 말씀드린거처럼 제조분야는 아직 시작도 안한겁니다

    제조가 본격화되면 엄청나게 만들어대고 팔겠죠 중국의 과거처럼

    지금 국내에 유통되는 중국제품 보다 더 싸다면???

    위치상으로도 중국에서 들여오는 거랑 크게 차이가 나 보이지않습니다

    참고로 중국에 서쪽과 동쪽의 거리가 어마하지만 저도 광저우에서 인천으로 받아

    서울까지 받는 비용 해도 다 물건값에 녹여 팔았습니다 그래도 국내산보다 훨씬 싸죠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의 경우 인구가 많고 노동인력이 젊어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가인것은 맞으나 계급제도와 일부지역에 국한된 성장 그리고 지하자원등 중국에 비해서 열세에 있어서 중국을 따라잡는 국가로 성장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떠한 일정한 국가의 인구는 경제력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칩니다. 경제는 크게 자본, 노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노동이 많으면 경제성장에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