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몇번 치료해야 끝나나요?
저는 신경치료를 받고 있는중인 30대여성입니다.
그리고 치과에 대한 공포도 너무 심해요 세상에서 제일 무섭고 싫어하는게 치과...
지금 왼쪽 위 어금니 오른 아래쪽 어금니 신경치료 중인데 오른쪽은 5번 치료에 이제 뿌리 본뜨고 심고 하면 끝나요 오른쪽은 이제 고통은 아예없구요
근데 문제는 왼쪽 위 어금니가 6번~7번째 치료이고 왼쪽도 마찬가지로 본 뜨면 된다는데 저는 왼쪽으로 씹는게 아직 아픈느낌이 있고 씹을때 힘도 잘 안들어가고 이유가 뭘까요?ㅠㅠ 왜 계속 아픈거죠?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일반적인 신경치료 횟수는 2-3회 이지만
그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관 개수가 많은 경우.신경관이 석화된 경우.신경관 내부 감염이 심한 경우.치아 내부의 구조가 복잡한 경우.재 신경치료를 하는 경우 입니다.
힘들더라도 통증이 없어질때 까지 받은후 보철물 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경치료를 하는 치아는 씹으시면안됩니다. 신경치료를 시작하게되면 교합이 되지않도록 치아의 씹는면을 삭제해놔서 치아가 닿지 않도록합니다. 아마 오른쪽 신경치료를 하시면서 왼쪽으로만 사용하셧기 때문에 왼쪽 치아가 예민한 상태, 아니면 염증이 심해서 그러실수도 있습니다. 당분간은 왼쪽에 음식물이 안가도록 주의하시면 괜찮아 지실꺼에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신경치료는 보통 3~4회로 진행이 되요
첫날은 신경관을 열어서 안에 있는 신경을 제거 합니다. 치아에 따라서 1~4개의 신경관이 있기 때문에 이 신경관을 찾아서 뿌리끝까지 길이를 재게 됩니다.
두번째날에도 신경을 제거 하는데 첫날에 신경을 많이 제거해 놓았기 때문에 남은 조직들을 더 제거 하고 첫날 못찾았던 신경관이 발견되거나 하면 그쪽도 청소를 하게 되요.
이렇게 신경이 제거되고 통증이 없어지게 되면 세번째 날에는 신경치료를 마무리 하게 되는데 청소하고 소독된 신경관에 치과약제를 채우고 마무리 하게 됩니다. 마무리된 치아는 후에 보철치료라고 하는 크라운 치료를 받게 됩니다.
두번째 치료까지 하고 세번째 치료까지 했는데 통증이 지속된다거나 신경관안에 출혈이나 소독이 덜 된 경우에는 네번째 까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과의 신경치료의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치아 안에 있는 신경관에 개수에 따라 다른데 작은어금니의 경우 보통 한번 내원할때 8천원에서 2만원 사이의 비용이 나갈수 있고 횟수는 3번에서 4번정도 가게 됩니다. 큰어금니는 한번 내원시 1만원에서 3만원 내외의 비용이 나가요. 신경치료를 한 상태에서는 치아가 약해져 있기 때문에 보통 떼우는 것보다는 씌우는 크라운이라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는 대개 3-4번 정도로 완료하는 경우도 많지만, 염증이 심한 경우거나 신경관의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한 경우 등 신경치료가 어려운 경우에서는 내원해야 하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 과정 중에는 조직의 제거, 기구와 조직의 접촉, 약제에 의한 자극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치아에 금이 간 경우나 뿌리 끝에 아직 염증이 많은 경우 등에서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 이전에 염증이 심했거나 신경치료 과정에서 flare-up으로 인하여 자극이 되었다면 해당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치료 이후 6개월 정도 지나도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경과를 조금 더 지켜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는 보통 치아마다 3번정도 하게됩니다. 하지만 신경상태, 염증상태에 따라서 횟수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씹을때 통증이 있을순 있으나, 통증이 지속되거나 가만히 있을때에 통증이 심하다면 다시한번 체크를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신경치료는 최소 3~4회 정도를 하는것이 일반적이지만 치아신경의 구조가 사람마다 다르고 기구가 접근이 불가능한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경우라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횟수를 정확히 단정 지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증상에 따라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