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건전지는 왜 시간이 지나면 액체가 새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건전지를 오랜시간 사용하다보면 끈끈한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건전지는 왜 시간이 지나면 액체가 새어 나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건전지에서 액체가 새어 나오는 이유는 화학 반응의 부산물과 내부 압력 증가 때문인데요, 건전지는 내부에서 전류를 만들어내기 위해 산화환원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납니다. 그런데 사용이 오래되거나, 사용하지 않고 오래 방치되면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균형해지면서 전해액이 분해되고 가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알카라인 건전지의 경우, 내부에는 수산화칼륨(KOH)이라는 강알칼리성 전해액이 들어 있는데요 이 전해액은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전극 물질인 아연(Zn)이 점점 산화되어 아연산화물(ZnO)로 변하면서 전해액과 반응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스가 조금씩 생기고,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압력이 한계치를 넘으면 건전지의 밀봉 부분이 약해지고, 결국 전해액이 미세한 틈으로 새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새어 나온 액체는 바로 수산화칼륨 또는 그 반응 생성물이며 이 물질은 강한 염기성이기 때문에 금속 표면을 부식시키거나, 손에 닿으면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건전지를 기기에 넣은 채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 방치할 경우 내부 부식이 가속화되어 누액 현상이 더 빨리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건전지는 그 안에 전해질이 있어서 이를 통해 작동을 합니다 오래되면 균열이 생기거나 하여 안에 있는 액체가 새어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