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23.01.16

혈액형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혈액형 중에서 널리 알려진 혈액형은 B,O, A, AB형이 있는데 피에는 왜 이런 혈액형들이 존재하는 것인가요?

혈액형이 무엇이길래 피가 잘못 만나면 굳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혈액형이 존재하는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혈액형의 다양성은 전염병의 확산 억제에 어느정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붙어있는 당단백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적혈구 표면에 있는 당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의 수용체로 작용하여 침입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액형의 다양성은 질병에 대한 방어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혈액형에 따라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달라지고, 일부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은 혈액형에 따라서 감염의 정도와 증상의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에 따라 적혈구에 응집원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o형의경우 적혈구에 응집원이 없기때문에 모든사람에게 수혈 할 수 있지만

    A,B,AB의경우 각각 고유의 응집원이 있기때문에 특정 조건을 해당하는 혈액을 수혈하거나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의 종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 19세기 말부터 수혈 때의 경험 등을 통해 어떤 사람의 혈액에 다른 사람의 혈액을 혼합하면 혈구의 덩어리가 만들어짐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 이 현상은 류머티즘이나 결핵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았으나, 1900년에 그것이 질병과는 관계없이 건강한 사람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라는 것을 K.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하였다. 이 혈구의 덩어리를 만드는 현상을 응집반응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사람의 혈구에는 A 또는 B라는 항원이 있고, 한편 혈청에는 이들과 대응하는 항 A, 항 B라는 응집소로 불리는 항체가 있기 때문이며, 혈액형이 다른 사람끼리의 수혈이 위험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요약하면 혈액형은 혈구 속에 들어 있는 특정항원의 유무 또는 존재하는 항원의 구성에 따라 실시되는 분류를 말한다.

    혈액형은 왜 생기는 것인가?

    - ABO식 혈액형 분류는 일반적으로 B형이나 A형 사람의 혈청 속에 태어나서부터 가지고 있는 자연항체인 항 A, 항 B를 써서 수혈이나 혈액형 물질을 주사하여 만들어진 면역항체이다. ABO식 이외의 혈액형분류에는 거의 모두 이런 면역항체를 쓴다. 그러나 때로는 동물의 혈청 속에 우연히 함유되어 있는 사람의 혈구에 대응하는 항체를 이용할 때도 있다.

    예를 들면 P식(말), Q식(돼지), E식(뱀장어) 등이다. 또 식물의 종자에 있는 응집소를 이용하는 수도 있다(항 N ·항 H ·항 A응집소 등). 이상은 적혈구 속에 있는 항원으로 본 혈액형이다. 이와 같은 것은 백혈구 ·혈소판 ·혈청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침이나 정액 등의 체액 속에 ABO식 항원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Se식 혈액형이다. 혈구 속의 항원에는 한 두 가계(家系)에서만 볼 수가 있는 극히 특수한 것도 있는데, 이들은 일반인의 분류에는 별로 쓸모가 없으나, 혈액형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방식의 혈액형이 개발되어 혈구의 항원구조의 복잡성이 차차 밝혀져 그 결과로 개인식별에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 혈액형은 멘델법칙에 따라 정확하게 유전되므로 친자감별에도 널리 응용되고 있다. 또 유전성 때문에 각 민족의 혈액형 분포는 각기 특유하며, 혈액형 조사에 따라 민족의 기원이라든가 혼혈도 등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단지 혈액형과 성격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학자가 없고, 혈액형과 특정 질병(암 또는 위궤양 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관련성이 있다는 통계를 제시하는 학자도 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은 멘델의 법칙으로 이어집니다.

    혈액 응집 성질이 다른 두 개의 혈액세포 구조를 각각 A와 B라고 표기하고 각각 ‘혈액형 A’, ‘혈액형 B’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이 두 구조가 한 사람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는 AB라고 표기하였습니다. 4번째 혈액세포구조는 O라고 표기하였는데 이는 다른 혈액형의 어떤 특징도 갖지 않은 사람들의 혈액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사람의 혈액에서 적혈구가 응집하는 일은 없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혈액이라고 해도 같은 혈액형이라면 응집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즉 A구조의 적혈구를 갖는 사람의 혈청은 같은 A구조는 응집시키지 않지만 B구조의 적혈구는 응집시킬 것입니다. 반대로 B구조의 적혈구를 갖는 사람의 혈청은 같은 B구조는 응집시키지 않지만 A구조는 응집시킬 것입니다. A와 B 구조를 모두 갖고 있는 AB구조인 경우에는 A, B, AB 구조 모두 응집시키지 않습니다. O형에 속하는 사람들의 혈청은 A, B, AB 구조의 적혈구를 모두 응집시킵니다. 그러나 O구조의 적혈구는 일반적인 사람 혈청에는 전혀 응집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