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에 각 나라마다 몇 개의 성곽이 존재했나요?
고구려, 백제, 신라는 서로 싸우기를 반복했고 특히나 고구려는 중국의 침공도 막아내야 했으니 많은 성곽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이 3개 나라가 각각 성곽이 어느 정도나 존재했었나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환도산성(고구려) - 국내성의 북쪽 2.5㎞ 지점의 해발 676m의 산성자산에 위치 - 자연 지세를 이용하여 성벽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산성의 평면은 매우 불규칙한 형태이며, 성벽의 총길이는 6,947m - 오녀산성(고구려) - 환인현에서 동북으로 8.5km 거리에 있는 혼강 오녀산 해발 800m부근에 위치 - 성의 전체 둘레는 4,754m이며 그중 천연성벽이 4,189m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축조한 성벽은 565m로 12% 정도 - 대성산성(고구려) - 평양시의 중심에서 동북쪽으로 약 6km정도 거리 - 성벽 흔적을 따라 바깥 벽을 실측한 것에 의하면 둘레가 약 7,076m - 공산성(백제) - 공주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 금강이 흐르는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 - 약 800m, 남북으로 약 400m 정도의 장방형의 모습 - 원래는 토성이었으나 조선 선조, 인조 시대에 대부분 현재와 같은 석성으로 개축 - 부소산성(백제) - 부여의 진산인 부여 북쪽 쌍북리에 있는 해발 100m 정도의 나지막한 구릉인 부소산 위치 - 돌과 흙을 섞어 쓴 토석혼축법을 사용 - 고락산성(백제) - 행정구역산 여수시 문수동에 위치 - 여수와 여천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 고락산(해발 335m)의 정상 - 본성과 보루로 이루어져 있음 - 검단산성(백제) - 전남 순천시에 위치 - 임진왜란때 왜적과 싸운 기록이 있어 조선시대 축성인줄 알았지만 최근 지표조사로 백제 후기에 지었다는 것으로 판명 - 삼년산성(신라) - 보은 최북단에 위치 - 10~15m에 달하는 성의 높이는 삼년산성만의 특징 - 고모산성(신라) - 경북 문경시 고모산(231m)에 위치 - 입지조건은 삼국시대 산성이 입지하는 일반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음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