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영악한갈기쥐189
영악한갈기쥐18923.02.16

먹구름이 낄 때 왜 검게 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날씨가 흐릴 때, 비가 올 때 등등 하늘에 먹구름이 끼잖아요 그때 주위가 어두워지는 이유가 먹구름이 검어서 그런데 혹시 먹구름이 낄 때 왜 검게 끼는 건가요?궁금해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흐리고 비가 올 때 먹구름이 끼면 주변이 어두

    워집니다. 그 이유는 먹구름이

    햇빛을 흡수하고 산란하기 때문입니다.

    햇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름

    은 이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킵니다.

    흰 구름은 물방울이 작아 햇빛을 거의 산란시키지만

    흡수하지 않아 흰색으로 보입니다.

    먹구름은 물방울이 크고 밀집되어 있어 햇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양이 많습니다.

    은 여러 색의 빛이 혼합되어 있지만 먹구름은 붉은색과 주황

    색 등 파장이 긴 빛을 더 많이 흡수하고 파란색 등

    파장이 짧은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파란색 빛은 하늘의 색깔이지만 먹구름이 짙을수록 파란색 빛

    까지 흡수하고 산란시켜 하늘이 어두워 보입니다.

    먹구름 아래에서 바라보면 햇빛이 거의 통과하지 못해 어

    둡게 느껴집니다.

    먹구름은 두꺼울수록 햇빛을 더 많이 흡수하고 산란시켜 더 어둡게 보입니다.

    두꺼운 먹구름 아래에서는 주변이 어두워지고 심하면 대낮

    에도 불을 켜야 할 정도로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먹구름은 햇빛을 차단하여 주변을 어둡게 만들고 기온을

    낮추기도 합니다.

    비나 눈을 내릴 수 있으며 강한 경우 천둥번개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먹구름은 날씨 변화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먹구름이 끼는 것을 보면 비나 눈이 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우산을 준비하거나 외출 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구름은 실제로 검은색이 아닙니다.

    햇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방식 때문에 검게 보이는 것일 뿐입니다.

    먹구름 아래에서 직접 바라보면 짙은 회색이나 갈색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