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유연한호랑나비176
유연한호랑나비176

비나 .눈이나 .우박이 올때 뛰면 덜 맞게 되나요?

비나 눈이나 우박이 떨어질때 좀금이나마 덜 맞을수 있을까 우산이 없을땐 막 뛰어 가자나요.뛰면 더 많이 맞을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급 들어서 올려봅니다 .뛰면 진짜로 적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느 프로그램에서 실제로 실험을 해본 질문입니다. 비나 눈이나 우박을 올 경우 사람들은 대부분 피하기 위해서 뛰는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실험을 통해서 뛰는게 하늘에서 내리는 물질을 더 많이 맞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히려 천천히 걸어갈 경우 많이 맞지 않는 경우를 봤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뛰는 것보다 천천히 걷는 것이 더 적게 맞을 수 있습니다. 뛰면 바람에 빗방울이나 눈송이, 우박이 더 많이 몸에 닿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 눈, 우박은 수직으로 떨어지는 현상이기 때문에 뛰어도 맞을 확률은 동일합니다. 오히려 뛰면 더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1970년대부터 비를 덜 맞는 방법에 대해 수많은 논문이 잡지에 실리는 등 논쟁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이 주제에 대해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했다는 것도 재미있지 않나요? 여러 과학자들의 다양한 연구 결과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1987년 유럽 물리화학지에 실린 연구 자료에 따르면, '비가 올 때 거리가 짧은 경우 걷는 것보다 달리는 것이 약 10% 정도 덜 맞는다'라고 했으며, 1995년 영국의 한 과학자는'비가 올 때 초속 3m 이상(성인 걷는 속도는 약 1.3m/s)의 빠르기로 달리면 속도에 따라 비를 맞는 양에는 별 차이가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두 번째 연구에서도 초속 3m까지는 걷는 것보다 달리는 것이 비를 덜 맞는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또, 1997년 미 국립기상데이터센터 소속 기상학자인 토마스 피터슨 박사와 트레버 월리스 박사가 직접 실험해본 결과, 장대비 속에서100m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달려갈 때가 걸어갈 때보다 40% 정도 몸이 덜 젖었습니다. 즉, 3가지 연구 모두 '비가 올 때는 뛰 어가야비를 덜 맞는다'라는 결론을 내린 것입니다.

      비를 덜 맞는 방법에 관한 실험은 사람이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맞는 비의 양'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속도 외의 요소가 변해서는 안 됩니다. 빗방울의 낙하 속도, 빗방울의 크기 바람(에 따른 비의 각도), 사람이 움직일 때 몸의 각도,이동 거리 등은 고정되어야 해요. 하지만 현실은 바로 옆이라도 비가 오는 속도와 양이 달라질 수 있고, 풍속과 풍향 수시로 변하며, 기계가아닌 이상 움직일 때 몸의 각도가 전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통제변수가 있는 실험과 조금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죠. 앞서 소개해드렸던 미국 기상학자들의 실험의 경우 직접 비를 맞아 가며 진행한 것이기 때문에 여러 조건이 통제되어 있는 시뮬레이션이나 공식으로 인한 연구보다는 실제와 비교적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실험과 달라질 수 있는 실제 상황을 예를 들자면, 바람이 앞에서 불어올 때는 걷거나 뛰는 경우 모두 몸의 앞면이 비에 젖기 때문에 이동 속도와는 관계없이 많은 비를 맞게 됩니다. 반대로, 바람이 뒤에서 불어온다면 바람의 속도와 비슷하게 뛰는 것이 비를 덜 맞게 되죠. 또, 이동 거리가 길어 장시간 비를 맞아야 한다면, 혹은 폭우와 같이 강수량이 많다면 걷든 뛰든 많은 몸이 다 젖으므로 이동하는 속도는 크게 의미가 없답니다.

      출처 : 한국수자원공사 -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 뛰면 비를 덜 맞을까?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달릴 때 맞는 비가 맞는 양은 증가하지만 맞는 시간은 감소하기에 비를 맞는 총량은 더 빨리 달릴수록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비의 방향이나 강도, 바람의 방향과 속도, 사람의 속도와 사이즈 등의 변수들이 많기때문에 무조건적으로 빨리 달릴수록 비를 적게 맞는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