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2.26

태양계와 비슷한 행성은 발견되었나요?

현재 우리가 살고있는 태양계처럼 여러 행성이 같은 공전을 하며 돌고있는 또다른 행성들이 발견된적이 있나요? 그런곳이 있다면 생명체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별입니다. 별은 스스로 에너지를 내며 주변의 행성들을 붙잡고 있게 되는데 우주에는 수많은 별이 있습니다. 이 별 주변에는 별을 도는 여러 행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태양계를 닮은 외계 태양계는 수많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태양계처럼 여러 행성이 같은 공전을 하는 행성계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곳은 케플러-186f와 TRAPPIST-1e입니다. 케플러-186f는 태양과 비슷한 별을 도는 지구 크기의 행성이며, TRAPPIST-1e는 7개의 행성이 서로 조화롭게 공전하는 행성계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행성들이 생명체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지만,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태양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별 주위를 회전하는 여러 행성을 갖는

    알려진 행성계가 여러 개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중 행성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주에서

    매우 흔한 것으로 생각 됩니다.

    다중 행성계의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는 지구에서 약 4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TRAPPIST-1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TRAPPIST-1이라는 작고

    차가운 별을 공전하는 7개의

    지구 크기 행성으로 구성됩니다.

    행성 중 3개는 별의 거주 가능 구역 내에

    위치하며 이는 잠재적으로

    표면에 액체 물이 있어 생명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 다른 예는 지구에서 약 600광

    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Kepler-1

    1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케플러 11호라고 불리는 G형 별(태양

    과 유사)을 공전하는 6개의 행

    성으로 구성됩니다.

    여섯 개의 행성

    은 모두 지구 크기의 1.3~3.1

    배에 달하는 크기를 가진 암석 세계로

    생각됩니다.

    발견된 다른 다중

    행성 시스템이 많이 있으며 항상 새로

    운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우주에 있는

    대부분의 별이 그 주위를 도는 행성이

    최소한 몇 개 있고 이들 행성 중

    상당수가 크기와 구성이 우리 태양

    계에 있는 행성과 비슷할 가능성

    이 높다고 믿습니다.

    이 행성들 중 어느 곳에도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정보 없이는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액체

    물의 존재 안정된 대기 에너지원(예 태양)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행성이 이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면

    거기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외계 생명체 탐색은 활발한

    연구 분야이며 과학자들은 다른 행성의

    생명체를 탐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의 우주 임무에서는 산소나

    메탄과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가스의 징후를

    찾기 위해 외계 행성의 대기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다중 행성계의 발견은

    외계 생명체 탐색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고 과학자들은

    우주에 어떤 다른 비밀이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계속해서 우주를

    탐험하고 싶어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캐나다 비숍대가 주축이 된 천문학자들은 2018년 은퇴한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남긴 관측 자료 분석을 통해, 지구에서 4672광년 떨어진 우주에 있는 항성 케플러-385가 7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현재 사전출판 논문 공유집 ‘아카이브’에 올라와 있으며, 국제학술지 ‘행성과학저널’(The Journal of Planetary Science)에 게재될 예정이다.

    태양보다 10% 더 크고 5% 더 뜨거운 이 별은 애초 2014년 케플러 관측에서 3개의 행성만 확인됐으나, 이번 후속 분석에서 4개의 행성이 더 드러났다.7개의 행성은 8개 행성으로 구성돼 있는 태양계와 거의 비슷한 구성이다. 지금까지 발견한 외계행성 가운데 6개 이상으로 이뤄진 행성계는 극소수이며, 케플러-385보다 더 많은 행성을 거느린 별은 8개 행성을 갖고 있는 케플러-90이 유일하다. 39광년 거리에 있는 트라피스트-1 행성계는 케플러-385와 같은 7개 행성으로 이뤄져 있다.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115570.html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금까지 우리 태양계와 유사한 다중 행성 체계가 발견된 적은 없습니다. 그러나 다중 행성 체계는 우주에서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중 행성 체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어려운 문제이지만,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면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ESO(European Southern Observatory)에서는 '태양계 2.0'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정도로 태양계와 닮은 항성계를 발견하였다. 고래자리(Cetus)방향으로 약 200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 HIP 11915는 우리 태양계와 매우 비슷한 환경의 항성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모항성 HIP 11915가 태양과 거의 같은 질량과 나이를 보이고 있으며 스펙트럼까지 태양과 비슷하다. 특히 스펙트럼은 HIP 11915 항성계의 전반적인 화학 조성이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HIP 11915 항성계에서도 태양계와 비슷한 암석형 행성들이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HIP 11915 항성에서 정확히 태양과 목성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목성과 질량이 비슷한 행성이 궤도 운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행성이 태양계의 행성과 비슷하다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앞서 예로 들었듯이 태양계에서 목성, 토성과 같은 거대 가스행성들이 태양계 전체의 중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질량과 모항성까지의 거리가 비슷한 행성이 모항성을 공전하고 있다는 것은 행성을 포함한 HIP 11915 항성계 전체의 물질 분포가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