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에 약한 아이 어떻게 가르치면되나요?
초2아들은 셈이 빨라서 암산으로도 척척 하는데 초3딸이 셈이 느립니다
나름 아주쉽게쉽게 설명해주면 그거에대해선 좀이해를하는데 응용문제가나오면 전혀 감을 못잡습니다
어떻게가르치면될까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추상적 사고가 어렵다면 구체물을 두고 직접 만지면서 셈을 할 수 있게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는 구체물을 표현하는 추상적 개념이기에 구체물부터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면 셀 수 있도록 해주시거나 손가락을 이용하게 해주시면 그것이 반복되다가 추상적인 연산도 가능해집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은 반복학습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수놀이를 이용한 보드게임등을 이용해서 자주 놀아주세요. - 공부를 할 때에는 동생의 관심이 자존심을 건드릴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산수에 약한 아이를 가르칠 때는 단계적인 학습 접근이 중요합니다. 우선, 기본 개념을 충분히 연습시켜야 합니다.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기본 연산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숫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시각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숫자를 설명해 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직선이나 블록을 사용해 덧셈과 뺄셈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응용 문제를 해결할 때는 한 번에 문제 전체를 푸는 대신, 문제를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작은 단계로 나눠 한 단계씩 차근차근 풀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첫 번째로 구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와 같이 문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질문을 하며 아이의 사고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또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예시를 통해 문제를 설명하면 아이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 사탕을 나누는 상황을 통해 나눗셈을 설명하는 방식은 추상적인 개념을 현실적으로 연결시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수학이 약한 경우 보조학습지나 공부방을 시켜보시는 - 것을 권합니다. 어려워 하는 과목은 반복하는 것과 흥미를 유발해주는 -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학습지를 반복적으로 플고 공부방에서 흥미를 - 느끼게 해준다면 아이 교육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교과서 중심의 학습이 제일 좋고 예습과 복습을 꾸준히 해야 하는 것 같아요! 초등학교 3학년 도형문제는 - 제가 봐도 어렵더라구요 하루에 1-2장이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난이도를 낮추어 자주 반복하는 것이 좋아요 - 쉬운 문제를 풀면서 성취감을 느끼며 셈에대한 자신감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아직 수학에 흥미가 없을 수도 있고 - 아니면 기초가 튼튼하지 않아 그럴 수 있습니다. - 일단은 기초적인 개념부터 다시 공부해보는 것이 -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수학은 기본 개념을 정확히 알고 문제를 푸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 개념을 충분히 익힌 후에 기초 문제를 풀고, 어느정도 다 푼 후에는 심화 문제로 - 넘어가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수학은 재미있다 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게임을 통해서 수학의 재미를 느끼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또한 동화 이야기를 접근해서 아이가 수학에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해주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아이가 좋아하는 스티커나 과자, 블럭을 이용해서 뺄셈과 덧셈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아이가 이해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설명해 주시고요. 아이가 어디까지 이해하였는지 확인하신 후에, 그 다음 순서로 진행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