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놀라운흑로272
놀라운흑로272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상태와 해외

대한민국의 현 재정상태는 정말 와르르멘션인가요.?...

지금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다 어렵고

힘든시기에 소비자물가도 대략 1.5배 상승했을끼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언론기사에서 재미있는 단어를 이야기하였는데요. '터미네이터 미국'이란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미국은 현재 본인의 상황만 보고 타국에 대한 배려없이 밀어 붙이는 '빠른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강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이러한 금리인상 기조는 우리나라에게만 피해를 주고 있는게 아니라 인플레이션과 에너지난으로 고통받는 유럽에게도 더 큰 고통을 안겨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럽은 금리인상기조를 최대한 경기침체를 고려해서 천천히 가려고 했더니 미국발 금리인상이 유로와 파운드화의 가치하락을 더욱 크게 부추겨 아무래도 비싼 원유나 천연가스를 더욱 비싸게 수입하게 만들고 있도록 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화이다 보니 어제 ECB도 1999년도 이후 처음으로 자이언트스텝을 밟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각 지역들의 금리인상 속도 경쟁이 붙게 되버린다면 질문자님께서 이야기하신대로 와르르멘션상태인 대한민국(가계 부채 1,240조 / 기업신용부채 2,490조등)의 내부경제 상태가 이 금리경쟁을 견딜 수 있느냐의 질문을 던진다면 100% 견디지 못한다라고 대답할 것 같습니다.

      대출을 갚기 위해서는 임금이 상승하거나 다른 비용이 감소해야하는데 지금은 오히려 비용은 증가하고 임금은 동결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기업들의 부실화는 구조조정의 압박을 주는데요. 최근 한국화이자나 모 대기업은 명퇴를 받았고, XXX회는 당일날 직원들 전체에 해고통보를 하기도 했었습니다. 이렇게 실직자 증가 + 기업의 부실화는 기존의 부동산을 매각해야지만 부채를 상환할 수 있도록 강요하는데 부동산 수요는 절벽인데 부동산 매물이 한번에 나오게 된다면 오히려 부동산 가격의 하락폭이 크게 벌어져 은행들조차도 부실화가 될 가능성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최악의 상황인거죠 이건)

      2008금융위기도 우리나라의 IMF도 결국 그당시는 한 지역 혹은 한 국가의 위기였지만 지금은 전 세계가 인플레이션의 위기로 너무나도 힘든 난관에 부딪힌 것 같습니다. 우리가 재정상태라도 좋으면 다행이지만 재정상태나 건전성도 최악인 상태라서 이 위기를 극복하는데 얼마나 힘듦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행복한 추석 연휴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의 경제는 고금리에 고인플레이션 상황에 기후변화에 따른 곡물생산감소영향으 큽니다. 금리인상등으로 외환시장에서의 달러강세가 연이어 계속되다보니 환율이 1400원대를 바라보고 있는데 현 우리나라정부는 외환보유액에는 아직 문제가 없다고 얘길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모두 경제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타 선진국에 비하여 가계부채가 높기 때문에

      급속도로 기준금리가 높아진다면

      가계들이 이자부담이 커지고 힘들어질 수 있을 것을 예측됩니다.

      외환보유고 측면에서는 아직 엄청난 위기라고 느껴지지는 않으나

      어려운 상황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