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3.03.17

거짓말탐지기는 어떤 원리를 이용한것인가요?

범죄사실여부를 판단할때 거짓말탐지기를 이용하는것을 영화나 드라마에서 본적이 있는데 어떤원리를 이용해 거짓의 여부를 판단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손에 땀이 생기면 전기가 통하게 만든 장치입니다.

    즉 거짓말이 아니어도 손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전기가 통해 거짓말로 판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호흡, 맥박, 뇌파, 안면근육, 행동패턴등이 분석되어 신호로 내보내줍니다.

    불안함을 이용한 긴장의 신호를 읽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 생리적 측정: 거짓말 탐지기는 대개 심박수, 호흡, 피부 전도도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합니다. 거짓말을 하면 뇌가 비정상적인 활동을 보이고, 이는 생리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2. 질문과 답변 분석: 거짓말 탐지기는 대개 특정 질문에 대한 대답을 분석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거짓말 탐지기는 자신의 이름, 나이, 생년월일과 같은 개인 정보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분석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자연어 처리: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어 처리 기술을 적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인간의 언어 특성을 모방하여, 대화 내용의 문법, 어휘, 감정, 문맥 등을 분석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이 거짓말을 했을 때의 생체신호를 미리 받아서 여러 질문과 비교해보고 거짓말인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폴리그래프(polygraph)라고도 불리며, 주로 범죄 수사나 심리치료 등에서 사용됩니다. 폴리그래프는 기본적으로 신체 반응을 측정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합니다.

    폴리그래프는 대개 세 가지 신체 반응을 측정합니다. 첫째는 심박수, 둘째는 호흡, 셋째는 피부 전도도입니다. 이러한 신체 반응은 거짓말 탐지기가 분석하는 '스파이크'를 만들어냅니다.

    폴리그래프 사용시, 먼저 '베이스라인'을 측정합니다. 이는 사람이 진실을 말할 때의 신체 반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후, 조사 대상자가 범죄에 대해 대답할 때, 이전에 측정한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신체 반응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만약 조사 대상자가 거짓말을 한 경우, 스파이크가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폴리그래프는 100% 정확도를 보장하지 않으며, 거짓말을 감지할 때 신체 반응의 변화가 진실을 말할 때의 변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폴리그래프 검사 결과만으로 범죄 사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며, 다양한 증거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 거짓말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손에 땀이 생기면 전기가 통하게 만든 장치입니다.



    즉 거짓말이 아니어도 손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 전기가 통해 거짓말로 판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려고 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폴리그라프 검사(Polygraph Test): 폴리그라프 검사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거짓말을 탐지합니다. 검사 대상자의 심박수, 호흡, 혈압, 피부전도율 등을 측정하여 이러한 생리적 반응이 거짓말과 관련이 있는지 판단합니다.

    2. 인터뷰(Interview): 인터뷰는 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 및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대상자가 거짓말을 하면서 나타나는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 및 행동 패턴을 파악하여 거짓말을 탐지합니다.

    3. 언어 분석(Language Analysis): 언어 분석은 대상자의 언어적 패턴을 분석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대상자가 거짓말을 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패턴과 진실을 말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패턴을 분석하여 거짓말을 탐지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거짓말탐지기가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들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거짓말탐지기는 정확도가 100%가 아니므로, 항상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7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을 할 때 신체의 변화를 감지해서 거짓말을 하는지 진실을 말 하는지 추정하는 장치 입니다. 땀이 많이 흐르면 피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감지가 가능하고, 호흡량이나 맥박, 얼굴색깔 ,표정 등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다음과 같은 원리를 이용합니다.

    폴리그래프(polygraph) 원리: 폴리그래프는 심박수, 호흡, 피부전도 등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기기는 몇 가지 센서를 사용하여 신체의 반응을 측정하고, 이러한 반응이 거짓말을 말할 때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등을 분석합니다.

    음성분석 원리: 음성분석은 거짓말에 따른 음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음성파형, 음조, 음성크기, 말 속도, 강도 등을 분석하여 거짓말을 감지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주로 음성인식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뇌파분석 원리: 뇌파분석은 거짓말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EEG(뇌전도) 등의 기기를 사용하여 뇌파를 측정하고, 이러한 뇌파가 거짓말에 대한 생각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