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구성종목 해석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ETF 구성종목 해석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MTS를 통해 ETF의 정보를 보면,
예를 들어 'TIGER 2차전지TOP10' ETF의 경우
총 10개 종목이 구성종목으로 나오는데요.
자세한 정보를 보면, '단위증권수', '구성시가총액', '비중(%)', '평가금액'이 나옵니다.
여기서 '평가금액'을 모두 합산할 경우 나오는 금액이 해당 ETF의 시가총액인가 싶어서 비교해 보았는데 금액이 터무니 없이 다르더군요.
각각의 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구성종목 정보를 보실 때 궁금한 점이 많으시군요. 먼저, ETF의 시가총액은 개별 종목의 평가금액을 단순히 합산한 값과 다릅니다. 개별 종목의 평가금액은 해당 ETF가 그 종목을 얼마만큼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일 뿐입니다. ETF의 시가총액은 ETF 전체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ETF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의 가격 변동을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정보에서 평가금액은 해당 종목이 ETF 내에서 차지하는 가치를 의미하며 종목별 시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위증권수는 ETF가 보유한 해당 종목의 주식 수량을 나타내고 구성시가총액은 해당 종목의 전체 시장에서의 시가총액입니다. 비중(%)은 그 종목이 ETF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데 ETF 내에서의 중요도를 보여줍니다. 각 종목의 평가금액을 모두 더한 값이 ETF 시가총액과는 다를 수 있는데 ETF 시가총액에는 다른 요인들(보유 현금, 운용 비용 등)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에서 평가금액이란 매일 변동되는 기준가에 의해 평가된 금액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구성시가총액은 말그대로 구성종목의 시가총액이고, 비중은 각 종목별 ETF 구성 비중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구성종목 정보에서 단위증권수는
ETF가 보유한 해당 종목의 주식 수를 나타내고 구성시가총액은
ETF가 보유한 종목들의 시가총액을 의미합니다 비중은
각 종목이 ETF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평가금액은
ETF가 해당 종목에 투자한 금액입니다
하지만 평가금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 ETF의 시가총액과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ETF의 시가총액에는 현금파생상품 기타 등이 포함될 수 있어서 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etf를 구성할때 거래량이 결국 시가총액과 연관이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상위의 종목부터 etf를 구성합니다. 이렇게 구성한 것을 2차전지 etf, 반도체 etf 등의 명칭으로 투자자 등에게 또는 시장에 안내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