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가 없이 생산물끼리 직접 교화시에는 어떤 불편한 점이 있을까요?
생산물을 교환하기 위해 화폐가 쓰이는데 만약에 화폐가 고안되지 않고 생산물끼리 물물교환하는 방식이 디속됐다면 어떤 불편한 점이 있을까요?
화폐 없이 물물교환 방식이 지속되었다면 경제 활동에서 많은 불편함이 발생했을 것입니다.
첫째, 교환의 일치 문제로 원하는 상품을 가진 상대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둘째, 서로 다른 상품의 가치를 비교하고 판단하기 힘들어 교환이 비효율적이었습니다.
셋째, 농산물처럼 부패하기 쉬운 생산물은 가치 저장이 어려웠습니다.
넷째, 고가 상품의 교환은 대체 물품을 찾기가 힘들어 거래 규모가 제한되었습니다.
다섯째, 분할 거래가 어려워 소규모 교환이 어려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물교환의 방식이 현대인 지금까지 이어졌다면 가장 큰 문제점은
그때그때 물건의 가격이 달라질수 있기 때문에, 교환비율의 불일치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교환할 물품이 많아질수록 거래가 복잡해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대방이 필요한 물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거래 자체가 성사되지 않는 불편함이 생깁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 없이 물물교환을 한다면, 교환 상대방의 필요와 맞는 상품을 찾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대규모 거래나 다양한 상품 교환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쌀한가마니 들고다니기~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물교환은 화폐가 발명되기 이전의 경제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방식인데, 불편한 점을 꼽자면 크게 다섯가지정도가 있습니다.
1) 니즈의 불일치
- 물물교환이 성립하려면 서로의 물건이 양측의 니즈를 전부 충족시켜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워낙 다양한 니즈로 인해 양쪽 모두 부합하는게 매우 어렵습니다.
2) 가치 측정이 어려움
- 물물교환에서는 각 물건의 가치를 책정하는게 어렵습니다. (사람마다 서로의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물건이라도 누구는 고평가하고 누구는 저평가하는 문제가 발생)
3) 분할이 불가능
- 교환하고자 하는 물건이 양쪽 모두 일치하더라도 분할이 불가능한 물건같은 경우엔 종류를 떠나 거래수량 자체가 불일치하여 거래가 성립 안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보관이 어려움
- 물건마다 부패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 빠르게 부패하는 물건 같은 경우엔 양측 모두에게 거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5) 이동의 어려움
- 부피가 크거나 무게가 무거운 물건일 경우엔 운반이 어렵기 때문에 물물교환에 있어 큰 장애물 중 하나가 됩니다.
이러한 불편한 점들 때문에 물물교환은 효율적인 거래 방식이라고 할 수 없으며, 화폐의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경제 활동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물교환방식은 교환을 하고자 하는 물품의 정확한 가치를 비교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등가 교환에 불편함이 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