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23.10.23

여름에 도로위에서 볼수있는 아지랑이는 무슨원리일까요?

더운 여름이 지나고 급추워지고 있네요.

여름철에 도로위에 심심치 않게 아지랭이가 핀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무슨원리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열에 의한 대기의 이동이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도로 위 아스팔트의 온도가 올라가면 그 지표면 위 공기와 더 위쪽의 차가운 공기의 대류가 발생하며 햇빛의 굴절에 의해 아른거리게 보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에 도로 위에서 아지랭이가 핀 것을 볼 수 있는 현상은 대기 중의 광학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도로 위의 아지랭이" 혹은 "도로 위의 물결"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뜨거운 날씨와 도로의 특정 조건이 만나면 발생합니다.

    1. 굴절: 도로 위에 있는 공기와 도로 표면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의 밀도가 변하고, 이로 인해 굴절이 발생합니다. 굴절은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2. 경계면 반사: 도로 표면이 빛을 반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반사된 빛이 굴절된 빛과 상호작용하면서 아지랭이 모양으로 보이는 패턴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는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나타나는 대기 현상입니다.태양열로 인해 지표면 근처의 공기는 뜨거워지면서 팽창합니다. 그러면 주위 공기보다 가벼워져 공기덩어리들이 상승하게 되고, 그 빈 부분이 아직 가열되지 않은 찬 공기로 채워지게 됩니다 이 찬공기와 뜨거운 공기의 밀도 변화때문에 빛이 굴절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지랑이란 봄이나 여름에 강한 햇살로 뜨거워진 들판 도로 건물 등에서 무색으로 흔들거리는 연기같은 것이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비가 그친 날 매우 습해진 대기가 지면온도 상승으로 더워져 솟아오르면 밀도가 서로 다른 공기끼리 뒤엉키면서 주위의 대기흐름이 복잡하게 됩니다. 이때 이 부분을 통과하는 빛이 복잡해진 대기흐름 때문에 불규칙하게 굴절되는데 이것이 아지랑이가 발생하는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