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만 되면 온몸이 가렵고 두드러기가 납니다.
겨울철만 되면 온몸이 가렵고 두드러기가 나는데요.
유독 겨울철만 되면 건조해서 그러는데 피부 건조증인가요? 아토피랑 다른것인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 겨울철에 피부가 건조해지며 가려운 경우 건성피부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건성피부염은 건조한 겨울철에 호발하며 주로 양쪽 정강이 주변으로 발생합니다. 피부가 건조하여 하얗게 각질이 일어나고 거칠어집니다. 심해지면 피부가 가렵고 갈라지고 피가날 수도 있습니다. - 이런 경우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를 도포해주면서 보습제를 자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 보습제(로션)은 자주 바를수록 좋으므로 하루에 5회 이상 많은 양을 발라주시면 증상이 빠르게 호전됩니다. - 답변이 되었나요?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시면 더욱 좋은 답변이 순환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물리적.인 자극, 약제, 음식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원인이 규명된 경우 해당 원인을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입니다. - 증상에 맞게 치료하는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고, 이후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 -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가능하지만 아마도 한랭 두드러기의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는 피부가 차가운 공기나 물질에 노출되어 생기는 두드러기를 말하며, 전체 두드러기의 약 3~5%정도를 차지합니다. 피부가 찬 공기, 찬 물질에 노출되면 붉게 부풀어 오르고 가려움이 느껴지며 이 증상은 피부가 다시 따뜻해질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이 발생시 한랭두드러기를 의심해볼 수 있으며, 주로 일교차가 심한 가을철이나 온도가 낮은 겨울에 발생합니다. - 한랭 두드러기는 근본적 치료방법이 없으며, 체온 변화 크지 않게 관리해주는 수 밖에 없습니다. 외출할 때는 따뜻하게 보온해주면 좋지만, 그렇다고 실내 온도를 너무 높이면 체온 변화에 의해 증상이 생길 수 있으니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증상 발현했을 때는 항히스타민제 복용을 통하여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만일 증상이 거의 매일 자주 발생하는 경우 예방적으로 매일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볼 수 있으며, 의사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주 의사입니다. - 계절에 따라 반복되는 알레르기는 - 계절에 따른 특정한 항원에 노출되서 그럴수 있습니다. - 자세한 원인은 피부과 방문해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 겨울철에 추위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가려움증 및 두드러기 증상이라면 한랭 두드러기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한랭 두드러기는 아직까지는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질환으로, 주로 차가운 공기나 물 등 차가운 물질에 노출되면서 피부에 가려움증과 두드러기를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우며, 증상을 유발하는 추위를 피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예방법입니다. 증상이 심하게 나올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을 통해서 조절하며 경과를 지켜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