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20

금리와 채권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보통 시중금리가 상승하면 상승 이전에 채권을 산 사람은 이익인건가요?

그렇다면 이처럼 금리가 상승하게되면 기존에 내가 갖고 있던 채권의 가치는

올라가는거라고 보는게 맞는건가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0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가격과 채권수익률 간에는 역관계가 존재합니다. 이 둘의 역관계는 케인스의 화폐이론을 이용하면 쉽습니다. 우선 단순화를 위해 화폐 외에 다른 금융자산은 채권뿐이고 시장은 균형에 있습니다. 이제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으로 시중 통화량이 증가하면 시장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시장은 초과 화폐공급에 놓이고 사람들은 초과 화폐공급량을 다른 금융자산 즉 채권으로 대체하고자 합니다. 채권수요가 증가하고 채권가격은 상승합니다. 이자와 상환액이 정해져 있는 채권을 전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했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률이 낮아진다는 얘기입니다. 즉 채권가격의 상승은 채권수익률(채권금리)을 낮춥니다.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초과 화폐공급 상태는 채권매입으로 해소되고 시장은 전보다 높(낮)은 채권가격(수익률) 하에서 균형을 회복ㅅ납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는 결국 채권수익률 인하 나아가 시장금리 인하로 이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의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기존에 채권을 가지고 있던 사람은 '몇프로의 금리의 채권을 가졌는지'에 따라서 이익이냐 혹은 손실이냐가 결정되게 됩니다.

    시중 금리가 올라가서 10%가 되었더라도 기존 채권의 금리가 12%라면 당연히 이익의 가치를 가지게되고 시중금리가 3%로 내려가더라도 기존의 채권금리가 2%가 된다면 손해가 되는 것입니다.

    즉 내가 몇%의 채권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시중 금리의 방향 결정성이 내가 가지고 있는 채권의 가치의 상하방의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단서가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금리가 상승한다면 상승이전에 채권을 산 사람은 손해입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값은 떨어집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반대로 채권값을 올라가고요.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채권의 가치는 떨어져 평가차손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신규 채권발행시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에 낮은 금리로 발행한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계속적으로 금리가 상승했던 올해의 채권시장이 매우 좋지 않았던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운 기업이나 국가가 돈을 빌릴 때 발행해주는 차용증 입니다. 채권에는 만기와 만기 때까지 받게 될 이자와 원금이 적혀있으며, 시장에서 거래되는 할 수 있는 금융자산 입니다.

    채권은 만기 때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정해진 이자(쿠폰)와 원금을 돌려받습니다. 하지만 중간에 채권을 현금화 할 수도 있는데, 이때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듯, 채권 시장에서 채권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새로운 채권을 발행 시 더 많은 이자를 줘야 합니다. 그러면 이전에 발행했던 채권은 가격을 내려야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해 집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원금이 100만원이고 이자율이 5%인 1년 만기 채권을 샀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채권을 들고 있으면 1년 후 10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이자율이 10%로 오르면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갑자기 현금이 필요해서 이 채권을 현금화 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 까요? 시장에서 팔아도 되지만, 아무도 이자율 5% 때 발행된 채권을 105만원에 사지 않을 것입니다. 그냥 현재 발행되는 채권을 사고 보유 한다면 110만원을 보장 받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만기까지 105만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의 가격은 최소 10%의 수익률을 보장해줄 수 있을 만큼 내려가야 합니다. 그래야 살 사람이 생기죠. 이 채권가격은 95만원(105/1.1=95) 이하로 내려가야 시장에서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이 나올 것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