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이로동
이로동23.05.30

접착제는 무슨 원리로 붙는건가요?

접착제를 보면 흰색에 묽은 액체인데 바르면 딱딱하게 굳고 한번 붙게되면 물로 씻어도 절대 떨어지지 않던데 무슨 원리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틈을 채워주는 것이 접착제의 기본원리다. 틈을 채워 마치 하나의 물체가 된 듯이 만드는 것이다. 모든 분자들 간에는 '반 데르 발스 힘'이라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틈을 가득 메운 분자와 물체들 사이에 이런 인력이 작용해 서로를 붙잡아 둘 수 있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접착제는 붙이려는 물체의 표면과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힘은 주로 분자 간의 반대극성을 가진 그룹 간의 전하 상호작용, 분자 간의 반응성, 분자 간의 분산력, 수소 결합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몇몇 접착제는 사용 후에 경화 또는 응집하여 붙임 효과를 강화시킵니다. 이는 화학 반응을 통해 접착제 분자가 재배치되어 더 강한 결합을 형성하거나 고체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이러한 특성은 접착제의 화학적인 특성과 작용 원리에 기인합니다. 대부분의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붙임성을 제공합니다:

    1. 접착제의 확산: 액체 상태로 있는 접착제를 표면에 바르면, 접착제는 표면의 미세한 틈새, 공극, 또는 소결된 재질과 상호작용하며 표면에 확산됩니다. 이 확산은 접착제의 분자 구조와 표면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2. 분자 간력력: 접착제 분자는 표면과 접촉하여 분자 간력력을 형성합니다. 이 분자 간력력은 접착제가 표면에 달라붙는 원리를 이루는데, 이것이 붙임력을 만드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3. 고체화: 접착제가 표면에 붙은 후, 일정 시간 동안 고체화 과정이 진행됩니다. 이는 접착제의 성분 중 일부가 반응하여 분자 간 결합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단단한 고체로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로써 접착제가 딱딱하게 굳어붙게 됩니다.

    4. 접착력 강화: 접착제의 고체화 과정에서 형성된 결합은 강력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는 접착제가 표면과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결과입니다.

    또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학 원리가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접착제는 고체화가 아닌 수분과의 반응을 통해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제가 수분과 반응하여 화학적인 결합을 형성하고, 그로 인해 붙임력이 강화됩니다.

    이러한 접착제의 원리와 화학적 특성들로 인해, 바르면 딱딱하게 굳고 물로 씻어도 절대 떨어지지 않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접착제마다 성분이 다르지만, 말씀하신 접착제는 순간접착제인 듯 합니다.

    보통 순간접착제의 주성분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입니다.

    순간접착제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공기 중의 수분을 만나면 고분자화합물을 만들며 굳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과 물질을 연결하는 고리를 형성하며 두 물질을 붇게 만드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주성분이 공기 중의 수분과 닿아 고분자화합물을 만들어 물질과 물질을 연결하는 원리인데, 이때 가스와 함께 열이 나면서 붙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순간접착제의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