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2.09.16

개똥벌레 반딧불이 빛나는 원리는

어린 시절. 반딧불이 날아다니면 정말 아름다웠었는데 정작 그렇게 빛이 나는 이유는 몰랐네요~반딧불을 잡아서 빛이 나는 꼬리부분만 떼어서 이마에 붙이고 논적도 있었는데 불빛이 꽤 오래갔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렇게 빛이 나는 원리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반딧불이가 빛을 내보내는 생물 발광을 실생활에 적용한 것입니다.

    야광은 과산화수소와 다이페닐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두 물질이 만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빛을 내는데 이것이 형광물질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 [㏓](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 정도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몸 안에 그러니깐 정확히 말하면 배의 끝 부분에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결합하며 빛을 발산합니다. 이 루시페라아제는 반딧불이 배에 특수한 발광 세포인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에 의해 생성되는데요. 루시페린이 활성화되면 루시페라아제가 분비되고, 분비된 루시페라아제가 산소와 결합하여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만들게 됩니다. 옥시루시페린이 빛을 내는 빛 에너지 물질이 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