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1.25

설 선물로 냉동 육류 제품을 선물로 받았는데..

통상적으로 냉동, 냉장제품을 박스로 받으면 내부에 아이스팩이 들어 있는데..

이 아이스팩은 그냥 물이 아니라 약간의 점성과 젤 형태로 만들어진듯 합니다.

어떤 성분으로 이뤄져있길래 물보다 더디게 녹고 오랜기간동안 얼려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6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이스팩에 들어있는 물질은 고흡수성 수지라는 물질과 물이 혼합하여 들어있습니다

    이 흡수성 물질이 열을 빼앗기게되어 얼게되면

    일반얼음보다 훨씬 높게 냉기가 지속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로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합니다. 이 소재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 좋습니다. 다만 요즘은 친환경 정책으로 인해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냉각 효과가 오래 지속되진 않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아이스팩 물은 0도에서 업니다.

    하지만 물에 혼합물을 가하면 0도보다 낮은 곳에서 얼 수 있어 더 시원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보통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을 물과 혼합하는데,

    이 물질에 의해 물렁물렁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로만 이루어진 얼음보다, 더 낮은 온도로 오래 냉기를 품는 아이스팩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어는 점’과 ‘흡열반응’을 기반으로 합니다. 열용량이 큰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물질을 물과 혼합해 얼리면 어는 점이 -10℃ 이하까지 내려갑니다. 이렇게 응축된 냉기는 일반 얼음보다 더 차갑고 오래 냉기를 유지합니다. 흡열반응을 응용한 아이스팩은 두 화학 물질의 반응을 통해 온도 하강을 유도합니다. 우리가 겨울철 똑딱 단추로 뜨겁게 만드는 손난로와 반대의 원리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흔히 염화암모늄이나 질산암모늄을 물과 반응시켜 -10℃ 이하의 보냉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SAP라 불리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주원료입니다.

    즉 플라스틱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물로 된 아이스팩이 많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