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값의 변동률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면 야채나 채소같은거 식품들이 가격이 상승하잖아요. 뉴스를 보면 막 식품값이 20-30%도 오르던데 식품값의 변동률이 이렇게 큰 이유가 궁금합니다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면 농작물 생산량이 줄어들고, 도로와 철도 침수로 운송 비용이 증가하여 식품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또 비가 많이 오면 사람들이 집에서 식사를 더 자주 하게 되어 식품 수요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식품 공급이 부족해져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금사과라고 해서 피디수첩에서 취재나간게 있는데, 일부로 비가 오고 하면 공급량이 적은것을 '핑계로'
물건을 풀지않아 조금씩 가격을 올려 소량씩 내보낸다고 합니다. 그러니, 최저시급이 올랐다, 전기세가 오른다 하면
그거에 맞추어서 올려파는것이 있다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식품과 같은 경우에는 기후와 환경적인 영향을 상당히 받기에 이에 따라서 작황 상황이 매번 달라져 변동성이 큰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식품값의 변동률이 큰 이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후와 날씨 변화: 농작물의 생산량은 기후와 날씨에 크게 의존합니다.
농업 생산비용: 비료, 종자, 연료, 인건비 등의 농업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식품 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특정 식품의 수요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공급이 부족해지면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식품이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게 되면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정치적 요인 및 국제 무역: 무역 정책, 관세, 수입 규제 등이 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 변동: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식품의 경우 환율 변동이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난 및 질병: 자연재해나 가축 전염병 등의 발생은 식품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장 및 유통 조건: 식품의 저장 및 유통 과정에서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신선 식품의 경우 저장 기간이 짧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의 손실이 가격 변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산품은 공장을 증설하여 공급을 단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식품은 단기적으로 공급을 갑자기 늘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공급충격이 오게 되면 식품값의 변동이 훨씬 큰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단기적인 수급의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장마등으로 배추농사를 짓는곳에 피해가 크다면 배추물량이 줄어들어 가격이 올라갑니다.
조류독감등으로 닭농가의 피해가 커지면 닭 공급물량이 줄어 가격이 올라갑니다.
다만, 단기적 이슈라 시간이 많이 흐르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식품값의 변동이 큰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식품 특히 채소나 과일 등은 공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기에 날씨에 영향을 받아서
생산량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가격 폭도 커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면 야채나 채소의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비가 많이 오면 농작물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운송이 어려워져서 시장에 나오는 양이 줄어듭니다. 그래서 공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다른 제품에 비해 식품은 가격탄력성이 낮은 편입니다.
공급도 가격이 비싸진다고 급격하게 늘릴수도 없고,
수요도 가격이 비싸진다고해서 밥을 안먹을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공급이 조금만 줄어도 가격이 확 뛰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다른 공산품의 경우엔 원재료 가격이 폭등하는 경우가 없어서 등락률 폭이 낮은데, 식료품 중 채소나 과일 등은 자연환경의 영향을 극심하게 받는 것이라 한 해 농사가 한 번에 망하기도 흥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가격 등락 폭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