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2.12.07

경제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LM곡선에서 통화공급량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낮아지는데

이게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건지 물가 하락을 유발하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LM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AD곡선도 우측으로 이동한다고 해서요, AD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한다는 건 물가가 상승했다는 소린데 이자율이 낮아지면 보통 물가를 하락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사항을 직관적으로 먼저 답을 드리면 통화량 증가에 따라 이자율이 낮아지는데 그럴 경우 시중에 유동성이 증가하여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LM곡선(L은 화폐 수요량, M은 화폐 공급량)이 우측으로 이동했다는 것은 통화량 증가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총수요(AD) 곡선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말씀 대로 물가가 상승합니다. 그러나 현재 주요 국가들이 긴축을 하고 있습니다. 즉, 통화량을 줄이고 있고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총수요를 줄여 물가를 잡는 게 주요 목적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이자율이 낮아지게 되면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자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의 증가는 곧 소비상승으로 이어져 물가의 상승으로 직결되게 됩니다.

    그리고 LM곡선이 우상향 즉 화폐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면 AD곡선이 우측으로 이동 즉 총수요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금리의 하락 -> 화폐의 공급량 상승 -> 총수요의 증가 -> 물가의 상승 이 패턴으로 이어지게 되는 곡선이 성립되게 되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화폐의 양이 곧 물가와 직결되는 것으로 '화폐 공급량 = 물가상승률'로 이해해주시면 편하게 이해가 되실거에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