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24.02.28

새들이 무리를 지어갈 때, V자 형태로 가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종종 새들이 무리를 지어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V자 형태로 비행을 하더라고요.

왜 새들은 무리지어 비행할 때 V자로 가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두통에는타이레놀이짱이지
    두통에는타이레놀이짱이지
    24.02.29

    안녕하세요. 임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무리를 지어 V자 형태로 비행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이러한 비행 형태는 특히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V자 형태 비행의 주요 이점

    1. 공기 저항 감소: 앞서 나는 새가 공기 저항을 받으면서 앞으로 나아갈 때, 날개를 펄럭이는 동작으로 인해 공기의 소용돌이가 생성됩니다. 이 소용돌이는 바로 뒤에 나는 새에게 상승 기류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해 뒤따르는 새는 더 적은 에너지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2. 에너지 효율성 증가: V자 형태로 비행함으로써 각 새는 앞서가는 새가 만든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새들이 날개를 치는 빈도를 줄이고, 따라서 비행 중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합니다.

    3. 비행의 조정과 통제: V자 형태는 무리 내에서의 시각적 연결과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 형태로 비행하면 각 새가 다른 새들을 보기 쉬워지고, 무리의 일체감을 유지하며 방향 전환과 같은 조정이 더 쉽게 이루어집니다.

    4. 비행 거리 최적화: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들에게 이러한 비행 방식은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먼 거리를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에너지 효율성은 특히 긴 여정에서 새들이 생존하고 번식지로 돌아가는 데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V자 형태로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V자 형태는 공기 역학적으로 효율적입니다. 앞쪽 새들이 만들어내는 기류를 타고 뒤쪽 새들이 비행하면 에너지를 덜 소모할 수 있습니다. 둘째, V자 형태는 정보 전달에 효과적입니다. 앞쪽 새들이 발견한 먹이나 위험을 뒤쪽 새들에게 쉽게 알릴 수 있습니다. 셋째, V자 형태는 포식자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V자 형태로 뭉쳐 있으면 포식자가 공격하기 어렵고, 공격을 받더라도 더 많은 새들이 협력하여 방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들이 V자 형태로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성, 정보 전달, 포식자 회피 등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은 V자 형태로 무리지어 ‘편대비행’한다. 기러기 고니 두루미 백로가 V자 형태로 이동하는데 이는 매나 독수리 등 천적의 공격을 피해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이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는 날갯짓 횟수와 심장박동수를 조사한 결과 홀로 날아가는 새들보다 편대비행하는 새들이 에너지를 11∼14% 덜 소비한다고 밝혔다. 앞에 날아가는 새가 만든 상승기류를 뒤에 따르는 새들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또 무리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다는 분석도 있다. 대체로 우두머리가 대열의 맨 앞에서 무리를 이끈다.

    출처 : 한국역사문화학교 - 철새 이동 수려한 영상 구수한 입담에 '재미 飛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맨 앞에 날아가는 새가 날개 짓을 하면 공기가 움직여서 그 뒤에 소용돌이 기류가 남는데 이 소용돌이 기류는 위로 향하는 흐름, 즉 상승기류를 만들어 뒤따르는 새들은 이 상승기류를 이용해 별로 힘들지 않게 날아갈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2.28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무리를 지어서 비행할 때 V자 형태로 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새들이 날개를 펼쳐서 날아갈 때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새들이 더 효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새들이 서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앞에 있는 새들이 바람을 차단하고 뒤에 있는 새들은 그 바람을 이용하여 비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들이 더 오랫동안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새들이 서로를 보고 통신할 수 있습니다. 새들은 눈으로 서로를 보고 신호를 주고받아서 무리를 지어서 비행할 때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새들이 목적지까지 더 빠르게 도착할 수 있습니다. V자 형태로 비행하면 새들이 서로를 따라서 비행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이유로 새들은 무리를 지어서 비행할 때 V자 형태로 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V자 형태로

    비행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V자 형태는 각 새가 앞선 새의

    날갯짓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바로 뒤에 비행하는 새는

    덜 힘들게 날 수 있습니다

    이 형태는 또한 각각의 새에게

    좋은 시야를 제공하고

    비행 중 대형을 유지하며

    방향을 바꾸는 데에도

    유리합니다

    V자 대형을 유지하면서

    번갈아 앞장을

    서는 것을 통해

    피로를 나눌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들은 장거리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