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눈부신뿔영양19
눈부신뿔영양19
24.01.14

한계대체율과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이 모순아닌가요?

X재 소비를 늘리면 한계대체율이 증가한다는 문장이 일는데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은 X재를 더 많이 소비할수록 포기해야하는 Y재의 양이 감소한다는 법칙인데

둘이 모순이 아닌가요?

아니면 혹시 X재 소비를 늘리면 한계대체율이 증가하는데 어느 임계점을 넘는 순간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이 따른다는 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옥연 경제전문가
    (주)무궁화신탁
    24.01.14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계대체율체감의 법칙을 설명하게 되는 경우 들어가는 것이 바로 동일한 효용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가정하는데 한계대체율만을 놓고 본다면 크면 클수록 A를 더 좋아한다고 가정을 하는데 A에 대한 효용이 커질수록 '동일한 효용'의 측면에서 그 값이 줄어들기 때문에 반대로 B라는 것이 있다면 줄어든 효용만큼 B에 대한 한계대체율은 감소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 사이에 모순은 없습니다.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은 기본적으로 한 재화(X재)의 소비를 늘릴 때 다른 재화(Y재)의 소비를 감소시켜야 한다는 원리를 설명합니다. 이는 한정된 자원과 무한한 욕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제 이론입니다.

    X재 소비를 늘리는 것은 그 자체로는 한계대체율을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X재 소비가 증가하면서 Y재 소비가 감소하면, 한계대체율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계대체율은 한 재화를 다른 재화로 대체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증가하면 한 재화를 포기해야하는 다른 재화의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X재 소비를 늘릴수록 한계대체율은 증가하게 되며, 이는 Y재를 포기해야하는 양이 더 많아진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과 일치하는 개념입니다.

    임계점 이상에서도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은 적용됩니다. 즉, X재 소비가 특정 임계점을 넘으면 Y재를 포기해야하는 양이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