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누리함
누리함23.06.02

만주지역에 무장 독립 전쟁 변천 과정이 궁금합니다.

홍범도와 김좌진 장군 비롯하여, 대한통의부도 조직했다고 합니다. 만주지역에 무장 독립 전쟁 변천 과정이 궁금합니다.

소련은 내전 중으로 적색군과 백색군이 심하게 대립했고요, 과연 소련은 우리 독립군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용대 및 조선의용군과 중경 임시정부의 한국 광복군을 나누어서 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조선의용대를 보면 1938년 10월 10일 한구에서 중국 국민당 총통 장개석의 협조 하에 약산 김원봉이 조선의용대를 창설합니다

    그리고 1942년 5월 김원봉과 일부 조선의용대가 중경 임시정부의 산하 부대인 한국광복군에 합류하면서 일부 조선의용대는 한국광복군 제1지대에 편입되었고 김원봉이 한국광복군 부사령관 겸 광복군 제1지대장에 임명되죠

    나머지 조선의용대는 김무정과 김두봉을 따라 화북의 연안지역에 이동하면서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결성하고 이후 조선독립동맹과 연안지역에서 만들어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가 조선의용군으로 개칭하여 중국 공산당 팔로군과 연합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죠 그 이후 조선의용군 세력이 북한으로 들어가려 했지만 소련군이 무장해제 함으로서 중국의 연안 지역에 위치하여 있다가 국공내전에 참가하기도 하면서 훗날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기도 합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940년 중경에 정착하고 9월 17일에 산하의 한국광복군이 창설하면서 총사령에 지청천을 임명하게 하고 1942년 5월에 김원봉이 이끄는 일부 조선의용대를 합류시키면서 김원봉이 부사령 겸 광복군 제 1지대장을 맡습니다. 그리고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하게 되자 대일 대독 선전 포고를 하고 연합군과 함께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고 1943년 영국군과 연합하여 미얀마 인도 전선에 나아가 후방 업무를 도맡아 하기도 합니다. 이후 1945년 미국의 oss 부대와 협조하여 국내 진공 작전 일명 독수리 작전을 펼치려 했으나 8월 15일에 일제가 항복함으로서 국내 진공 작전은 무산되었고 결국 외세에 의해 독립이 되었기 때문에 주권을 획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광복을 맞이하여 남과 북이 각각 미군과 소련군이 진주하여 분단이 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주지역 무장독립전쟁은 1930년대 초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일본의 식민지로 지배되던 만주에서 일어난 무장독립운동입니다.

    만주에서는 대한 독립단, 서로 군정서, 북로 군정서, 대한 독립군, 대한 독립 군비단, 의군부, 광복단, 태극단, 광한단, 광복군 사령부, 광복군 총영, 대한 통의부, 광정단 등의 독립군이 설립되었으며, 연해주에서는 혈성단, 의군부, 경비대, 신민단 등이, 미국에서는 국민 군단, 비행사 양성소, 소년병 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한편, 국내에서도 천마산대, 보합단, 의용단, 구월산대 등의 독립군이 설립되어 일제에 항전하였다.

    이 운동은 재일동포들과 만주국민들이 함께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다른 시기나 다른 지역의 민족해방운동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과 의의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운동당사자들이 올바른 정세인식과 독립국가 건설에 대한 전망, 장기적 안목과 체계있는 조직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치열하게 일제 및 만주국 관헌 등과 직접 싸웠기 때문입니다. 특히 무장투쟁은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뒤따르고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면서 강대한 제국주의 세력과 싸워야 하기 때문에 매우 실현이 어려운 투쟁방법이었지만 그만큼 정치적 의미는 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0년대 전후의 만주 지역의 여성 독립운동은 활발하지 못하고 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의 부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는 1919년 3·1운동 이후크게 변화하였다. 용정 3·13운동 당시 여성이 단상에 올라가 연설하는가 하면 여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였다.

    -출처:한국학술지인용색인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