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보람찬들소293
보람찬들소29323.04.12

동양 고유의 종이 한지 오래보존 가능한 이유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한지를 많이 사용해오고 있는데 조선신록, 대동여지도등 보존 상태가 양호한건 특별한 방부재를 사용 하는건가요? 아니면 한지의 재료인 닥나무 특성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한지는 주로 목재에서 추출된 식물 섬유로 만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천연 소재의 특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가집니다. 또한, 지에는 알부민, 나트륨, 피로산, 히스티딘 등의 내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분은 한지가 곰팡이, 세균,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오래 보존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에서 뿜어져나오는 피톤치드라는 성분이 세균도 막아주고 방부제 역할도하기때문에

    닥나무가 원료인 한지로써는 더 없이 오래 보관되죠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지 제작에 사용되는 주 원료인 닥나무의 특성과 한지 제작 과정에서의 기술적 요소가 함께 작용하여, 오래된 서적들의 보존 상태가 양호합니다. 또한, 한지 제작 과정에서 방부제나 살균제 등을 사용하여 종이를 보호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부재가 없어도 한지는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한지는 먼저 제조 공정 중 알칼리성 잿물로 표백하여 중성을 띄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장기간 보관 시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닥나무를 잿물에 넣어 삶아낸 섬유나 그 섬유소의 굵기가 균일하기 때문에 전통 한지는 매우 질긴 성질을 갖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한지는 닥나무를 물에 적셔서 풀고 풀을 이용해 모서서 붙인 뒤 햇빛에서 고온살균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로인해 잘 썩지않는 종이재질이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