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율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요?
대내외적으로 불확실한 요인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요. 환율이 앞으로 하락해서 안정화될지 추가적인 상승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환율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미국은 강달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국내 환율은 계속해서 1,400원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장래 전망은 여러 불확실한 요인에 의해 크게 변동됩니다. 최근 한국과 미국의 경제적, 정치적 상황이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미국의 통화 정책이 변동될 경우, 환율이 안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환율이 13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반면, 미국의 통화 정책 변화나 글로벌 경제 불안정성은 환율 상승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율의 향후 변화는 이러한 요인에 크게 달려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 환율은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들이 얽혀 있어 변동성이 큰 상황입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속도 조절 또는 금리 인하 전환 가능성이 제기될 경우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국내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외국인 투자 자금이 유입될 경우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여 환율이 안정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최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는 단기적으로 환율 하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2분기 내로 1300원대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내적으로는 우선 정치 리스크가 없어졌기 때문에 안정화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전세계 경제가 혼돈에 빠지고 미국 우선주의로 인한 달러 수요 증가로 원달러 환율은 추가적인 상승이 있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중후반대에서 요즘 계속 거래중입니다 윤석열 탄핵 후 20원정도 하락했다가 다시 1460원정도 마감했습니다 국내 정치 불안으로 원화 약세로 인해서 20-30원정도 추가로 오른 경향이 있으니 저는 1450원 전후로 움직일꺼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달러 강세가 좀 죽어야 다시 1400원 언저리 횡보하지 않을까 싶구요 트럼프가 계속 말도 안되는 정책을 밀어붙이니 달러 강세도 좀 누그러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추구하는 방향이 관세정책은 금리 하락과 달러약세입니다. 물론 관세정책은 강달러를 유발하지만 트럼프는 10년물 국채금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시중은행히 구입하도록 규제를 완화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들어서 10년물 시장금리 하락과 달러인덱스가 조금씩 하락추세입니다. 이로 인해서 유로나 엔화대비 달러인덱스가 하락중이며 아마 제조업의 부활을 위해서 달러약세를 유도하기윈한 정책이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한국은 기본적으로 실물경제에 대한 불확실성과 잠재성장률이 낮아져서 원화는 상대적으로 강세인 환경이 유인이 적다보니 현재 환율이 크게 하락하기는 드물지만 정치적안정과 미국의 정책드라이브로 인해서 하반기에는 1400원초반대로 환율로 점진적 하락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