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위용있는불독38
위용있는불독3822.10.11

영국 긍융시장의 위기내용은 무엇인가요?

영국 파운드화가 떨어지고 국채금리가 치솟고 연기금이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데,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영란은행 총재의 개입중단 발언의 파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영국의 파운드화가 급락하고 이에 채권시장에 위기가 있음에 따라서

    영국 내 연기금 등에서 위 채권들에 대한 담보가치하락으로 인하여 마진콜에

    위기에 직면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각종 자산 등을 판매할 수 밖에 없고 위기가 부각되고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의 같은 질문이 있어 아래 피드백으로 답신을 갈음합니다.

    ---------------------------------------------------------------------------------------------------------------------------

    본질은 영국경제 자체의 건전성에 문제가 많아서입니다. 영국은 일반적으로 금융, 관광업 등이 주요 산업인데 코로나19로 유동인구 감소로 타격을 받았고 근래 에너지와 곡물 등의 가격 폭등으로 인플레이션에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럴 경우 미국은 빠른 시간 내에 금리를 인상하며 물가 제어에 나섰고 그로 인해 달러는 킹달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영란은행은 금리 인상 대신 감세안을 들이 밀었고 이는 주요국 통화정책에 역행하는 것입니다. IMF가 경고를 했고 미국이 반발하여 결국 감세안은 철회했으나 영국 경제의 위기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영국의 이러한 행보는 결국 자국 이기주의와 정치가 경제에 개입하게 되면 나라 경제를 망칠 수 있다는 극명한 사례고 과거 1998년 IMF 금융위기를 맞은 당시 당국처럼 심각한 판단착오에 기인합니다.

    경제 정책 중 통화 정책은 가장 효과가 직관적이고 빠른 대신 반대급부가 명확합니다. 가령 금리를 미국처럼 빠르고 크게 인상하게 되면 일부 경기 침체는 감내해야 합니다. 영국 정도의 경제 대국은 이러한 글로벌 기조에 반하면 안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97499?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