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식재산권·IT 이미지
지식재산권·IT법률
지식재산권·IT 이미지
지식재산권·IT법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2

피고인의 신변보호를 위해 공개하지 말아야 하는 정보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피고인의 신변보호를 위해 공개하지 말아야 하는 정보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그리고, 공개할 수 있는 정보 중에서도 피고인이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정보가 있나요?말아야 하는 정보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성훈 변호사
    김성훈 변호사23.08.12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문의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8조의2(피의자의 얼굴 등 공개)

    ① 검사와 사법경찰관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특정강력범죄사건의 피의자의 얼굴, 성명 및 나이 등 신상에 관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개정 2011.9.15>

    1. 범행수단이 잔인하고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 특정강력범죄사건일 것

    2. 피의자가 그 죄를 범하였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을 것

    3. 국민의 알권리 보장, 피의자의 재범방지 및 범죄예방 등 오로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할 것

    4. 피의자가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제1호의 청소년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피고인의 얼굴, 이름, 나이, 직업 등 신상정보는 특별한 법률상 근거가 없는 한 공개가 되지 않습니다.

    위 규정에 따라 얼굴, 성명 및 나이 등 신상에 관한 정보에 관한 공개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입니다.

    제7조(사생활의 비밀 등의 보호)

    검사는 수사의 전 과정에서 피의자등 사건관계인의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하고 그들의 명예나 신용이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출처: 인권보호수사규칙 제정 2019. 10. 31. [법무부령 제961호, 시행 2019. 12. 1.] 법무부 > 종합법률정보 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