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23.04.14

우리나라에만 황사가 이슈가 되는이유가 뭔가요?

사막지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는 사막도 아닌데 황사가 이슈가 되고

또 우리나라에 황사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중국쪽에서 날라오는 거라고알고있는데 날아오는 과정이 어떻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황사는 주로 봄과 가을에 일어나며, 중국과 몽골 지역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한 먼지와 모래가 대륙을 건너 우리나라로 이동하여 발생합니다. 특히 중국 북부 지역에서는 강한 바람에 의해 매년 많은 먼지가 발생하는데, 이 먼지는 상당한 양의 황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리적 조건, 즉 한반도의 형태와 바람의 이동 경로 등도 황사 발생에 큰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바람이 서해안에서 동해안으로 북상하는 경로를 따르는 경우, 중국 북부나 몽골 지역에서 발생한 황사가 서해안 지역으로 이동하여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황사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모래뿐만 아니라 공장 및 자동차 배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와 오염물질 등이 섞여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만 황사가 이슈가 되는 것은 아니며, 황사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모래, 지구 표면에서 바람에 의해 일어나는 입자들이 일정 기간 동안 대기 중에 떠다니며 수백~수천 km를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황사는 대부분 중국 북부지역에서 일어나며, 바람에 의해 대륙을 건너 우리나라로 이동합니다. 황사는 미세먼지와 달리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수성을 가지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중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화되면서 황사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봄철에 서쪽 지역에서 바람이 불면서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가 불어와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는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 황하중류의 황토지대에 저기압이 통과할 때 다량의 황색먼지가 강한 바람에 의해 공중으로 떠올라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와 일본 등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떨어지는 일종의 흙먼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거 처럼 황사의 피해자는 거의 우리나라 입니다.

    중국 동쪽 해안에 늘어선 공업도시들보다 우리나라의 서해안 유역의 대기오염이 더욱 심할 정도입니다.

    그 이유는 대기 자체가 서쪽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문제에 민감한 일본은 황사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왜냐면 황사 자체가 일본까지는 그리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황사는 매년봄철 몽골사막, 중국쪽 사막의 모래와 흙이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일본쪽으로 날라오게 됩니다.

    → 매년 겨울에서 봄사이 중굴발 미세먼지가 가장심함.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고 일본 또한 중국발 미세먼지에 고통겪는 상황은 동일하지만 한반도를 한번 거쳤다 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정도는 덜한 상황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