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되알진그늘나비195
되알진그늘나비19523.08.04

감기에 다양한 항생제가 처방되는데 차이는 무엇일까요?

나이
49
성별
남성

감기에 다양한 항생제가 처방되는데 차이는 무엇일까요?

증상별로 항생제의 차이가 있을까요?

감기에 처방되는 항생제의 종류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주의점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대부분 상기도 및 하기도에 듣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항생제끼리 큰 차이는 없습니다. 항생제를 쓰는 것이 안쓰는 것보다 이익이 있다고 판단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항생제는 최소한의 기간만 쓰고 중단합니다.

    항생제는 중단하면 몸에서 없어져서 인체에 어떤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생겨 설사나 배가 부글거리는 증상이 가장 흔합니다. 중단하면 장내 미생물도 회복되고 원상태로 돌아옵니다.

    감기에 처방하는 항생제 : 아목시실린 계열, 세팔로스 포린계 계열 --> 효능이나 효과 부작용이 비슷합니다

    퀴놀론 계열 : 몇 가지 이유로 감기에는 잘 처방하지는 않습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처방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이라서 항생제를 쓰는 것은 잘못된 겁니다. 바이러스에 불필요하게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니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호흡기 증상 및 전신 증상으로 바이러스 치료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습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에 효과가 있습니다. 항생제는 증상이 심한곳, 인후두나 편도, 폐렴 등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감기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했을 때 사용되는 항생제들은 종류가 다양하지만 목표로 하는 균주는 비슷합니다. 호흡기 감염 시 문제가 되는 세균들을 목표로 하며 약제마다 커버하는 균의 범위나 부작용 등이 달라서 의사마다 선택하는 항생제가 조금씩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항생제 복용 시 문제가 되는 것은 보통 설사증상이고, 중단하면 다시 좋아집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