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7.17

고려시대 청자의 특징이 궁금합니다.

고려시대의 미술품의 대표적인 걸적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고려 청자로 알고 있습니다. 세계 도자기 발전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명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데,

이 고려시대의 청자의 특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918~1392)에 구워진 청자. 중국 월주요의 영향을 받아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12세기에는 비색청자(翡色靑磁)라고 하여 아름답고 정교한 청자가 구워지고 상감(象嵌) 청자도 창시되었다. 상감청자는 소지에 문양을 새겨 넣고 적토 · 백토를 상감하여 청자유를 발라 구워낸다. 또 유하에 철회구로 문양을 그린 청자철회(靑磁鐵繪, 회고려[繪高麗])나 동정색(銅呈色)의 홍채를 베푼 청자진사(辰砂), 전체에 철회구를 칠한 다음 청자유를 입힌 철채수(鐵彩手) 등도 만들었다.


    14세기경에는 작풍이 무너지고 색조도 탁하고 어두워져 상감청자는 분청으로 전환되었다. 고려청자의 요지는 거의 전국에서 보이나 전라남도 강진(康津)군 대구(大口)면의 요와 전라북도 부안(技安)군 보안(保安)면 유천(柳川)리의 요가 우수품을 생산하였다.

    출처 : 미술대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제된 그릇 곡선의 빈틈없이 매끄러운 균형, 정교하고 세련된 상감기법, 그윽하고 우아한 비색의 유약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