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급탄력성은 무슨 말을 하는 건가요..?
책에서 ’공급탄력성‘이라고 경제,금융괸련 책에서 읽으면서 보았는데 무슨 뜻인가 무슨 말인가 알고싶었고 궁금하기때문에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급탄력성(Supply elasticity)은 시장 가격 변화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량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급탄력성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냅니다.
공급탄력성 = (변화한 공급량 / 원래 공급량) ÷ (변화한 가격 / 원래 가격)
만약 공급탄력성이 1이면, 시장 가격이 1% 상승하면 공급량도 1% 증가합니다. 이 경우를 '완전탄력성'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공급탄력성이 0에 가까울수록 시장 가격이 상승해도 공급량의 증가 정도는 제한적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급탄력성이 높은 상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어 있으며, 기술적, 생산적 혁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산업 분야입니다. 반면, 공급탄력성이 낮은 상품이나 서비스는 시장에서 가격 경쟁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공급 제약이나 제조 공정 등에 따른 영향이 큰 산업 분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