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10.31

대류권은 왜 높이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나요?

지구의 대류권은 점점 높아질수록

기온은 오히려 내려간다고 하던데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태양과의 거리가

가까워짐에도

오히려 기온이 내려가는 현상은

어떤 이유로 생기는 것인가요?


대류권의 특이한 기온에 대해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10km이며, 지표가 방출하는 복사열에 따라 기온이 영향을 받아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지죠


    성층권은 그 반대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류권은 지표면에서 약 10km까지의 층으로,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됩니다. 하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을 흡수하는 대기 입자의 수가 줄어듭니다. 또한,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열을 전달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내려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고도가 높아지면 온도가 낮아지는 건 지표면에서 10~15km대의 대류권에서만 해당됩니다.

    이유는 지표면의 복사에너지 때문으로 고도가 높아질 수록 복사에너지의 영향이 적어지며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고도 100미터 상승을 하면 0.5도씩 낮아지며, 200미터에 1도 정도가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에서 높이가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대기의 성질과 태양 에너지 흡수, 방출에 따른 영향 때문입니다.

    일단 대류권은 지구로부터 지표면에서부터 약 8~16km 높이까지의 영역입니다. 태양으로부터의 복사 에너지는 지표면에서 대기로 흡수되고 대기는 이 열을 대기 중으로 전달합니다. 그러나 대기의 성질은 고도에 따라 다르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대기의 밀도가 낮아지면 고도가 높을수록 분자 간 충돌이 적어져 열 전달이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대류권의 높이가 올라갈수록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기온 이상의 감소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보통 1km당 약 6.5°C 정도의 기온 하강이 관측됩니다. 이를 대류권 기온 감률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은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적게 받기 때문에 위 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집니다. 또한 대류권에는 수증기가 존재하기 때문 에 구름, 비, 눈이 내리는 기상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과의 거리는 거의 똑같기 때문에 의미가 없고, 태양에너지를 지표면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땅의 온도가 훨씬 높습니다. 즉, 땅과 멀어지기 때문에 추워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