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고려시대 때 만들어진 고려청자의 무슨 기법을 사용했는지 알 수 있나요?

청자가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그릇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어디 신문에서 본 기억이 있는데요.

실제로 본 적은 없지만 사진에서만 보더라도 엄청 아름답고 빛깔도 고운데

기술적으로는 백자가 청자보다 더 앞선다고 하는데,

기법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청자 겉면에 홈을 파서 백토나 자토를 넣는 기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무늬가 튀어나오고 바탕색이 비쳐서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고려 청자는 조선의 백자와 더불어 한국 도자기를 대표하는 유물중의 하나 입니다.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낸 도자기중 가장 아름답다는건 조금 과장이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실제로 고려청자는 고려에서 만들어낸 독자적인 도자기는 아닙니다. 중국에서 먼저 만들어진건 사실입니다. 삼국시대 당시에도 중국에선 청자를 만들었고 고려시대때 당시의 기술자들이 고려로 넘어오면서 더욱 발전한 것입니다. 청자의 제작 방식은 초벌하여 만든 도자기의 표면을 파내어 하얀흙과 붉은흙을 넣어 그위에 유약을 입혀서 구워서 만드는 것이 대표적인 고려의 상감청자를 만드는 기법 입니다. 청자의 기본이 되는 흙은 철분이 포함된 흙을 굽기때문에 초록색과 같은 색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백자의 경우는 상감 기법을 사용하진 않지만 철분이 포함되지 않고 입자가 고은 하얀색 백토를 사용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 굽게 되는것이 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답변이 되셨기를 빌며 언제든 문의 주십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