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본의 물가가 2프로로 잡히는 이유?
일본 중앙은행이 2퍼센트의 물가상승에도 완화적 통화정책을 고수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득 중국도 인플레가 심화되고 있다는데 일본은 어떻게 물가가 이리도 낮은상태로 유지되는지요? 엔저로 유가 등 수입뮬가가 상당할 것 같은데 어찌 그럴 수 있을까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저금리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경제강대국인 만큼 아마돋 회화보유액이 아직은 충분하다는것과 금리인상에 따른 부채증가를 우려로 저금리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과거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할만큼 디플레이션이
심화되었으나 원자재 및 식료품 가격 급등으로 인하여 디플레이션에서
약 2%로 물가가 상승하는 등 약 7년만에 최고치에 이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현재 경제침체을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경제침체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낮다는 뜻이며, 최근 통신비가 하락하면서 물가안정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2%가 상승률도 최근 10년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할 때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는 내부적인 문제보다 글로벌적 에너지가격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했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