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당당한제비134
당당한제비134
22.06.22

BRONJ? ? 이런 부작용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골다공증 환자가 치과치료 잘못하면

BRONJ ? 인가 하는 병에 걸릴수 있다고

답변을 받았는데요

BRONJ질병의 특징이 뭔가요?

많이 심각한 병인건가요??

어떤증상이 나타나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정진석 치과의사blue-check
    정진석 치과의사
    대학병원 통합치의학전문의
    22.06.23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골다공증 환자가 치과치료를 잘못하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골다공증으로 인하여 약을 드시고 있는 상황에서 치과적 치료를 이어가게 되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BRONJ입니다. 일종의 골 괴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약 성분에 의해서 발치나 외과적 시술 이후 노출된 뼈 부위가 회복되지 못해 심한 통증을 동반하면서 해당 부위가 괴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괴사 범위가 넓게 되면 절제술의 수술을 하셔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jaw 의 약자로서, 약물성 악골괴사가 되는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이 약을 드신다고 해서 다 이 증상이 생기는것은 아니지만, 일단 한번 생기면 치료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임플란트나 발치를 하기전에, 비스포스포네이트계열의 골다공증약이나 주사를 맞고계시다면, 6개월에서 1년정도 투약중단후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골다증약으로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드(bisphosphonate) 때문에 생기는 턱뼈 괴사증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발치나 임플란트 후 상처가 아물지 않고 턱뼈에 염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치료가 까다롭고 치료후에는 턱뼈 일부의 결손이 일어나는

    합병증이 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