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활달한안경곰256
활달한안경곰256

신생아 좁쌀여드름 관리 어케하시나요?

관리 어케하시나요ㅠ 너무 많이 나서 걱정이에요ㅠ 땀을 흘리고 나면 더 나는거 같고 붉게 올라와있으니 더 걱정이네요 태열인건지 뭔지 첫아이라서 모르는게 너무 많아요 혹시 다른맘들은 어케 관리 하셨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의연한멧돼지241
      의연한멧돼지241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 좁쌀 여드름이 너무 많다고 하신다면

      병원에 가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갓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 때 생기는 여드름을 신생아 여드름이라고 부릅니다. 생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여드름이죠. 정상적으로 출생한 신생아의 약 20%에서 관찰될 만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얼굴(특히, 양 볼과 턱), 가슴, 등에 작은 염증성 구진 형태로 나타납니다. 일부에선 고름 물집으로 발전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3개월 이내에 없어집니다.

      아주 드물게 몇 달씩 지속한다면 영유아 여드름 등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피부과 전문의 등과 상담하시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들이 좁살 여드름증을 겪는데, 보통 시간이 지나면 거의 다 사라지니 넘 염려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의 몸을 너무 덥게 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해당 질문은 의료란에 더 알맞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해당질문의 경우 육아 전문가가 답하기 어려운 내용인 것 같습니다

      재질문 하신다면

      현직 의사 선생님들께서 답변 주실 것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 비립종을 말씀하시는것 같은데요, 신생아 비립종은 표피내부에 표피성분이 과도하게 증식해서 생기는 낭종으로 절반정도의 신생아가 경험하며 보통은 자연적으로 없어집니다. 시간을 가지고 지켜보시면 될듯 합니다^^ 아기와 행복한 시간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소아과 교과서에 처음 나오는 문장이 있는데요

      바로 <소아는 작은 성인이 아니다>라는 문장이랍니다.

      소아, 특히 영아, 그중에서도 생후 1달 사이에 아이의 피부는 다양한 양상을 띄게 되는데

      앞으로 제가 말씀드릴 피부 병명을 동일한 성인 피부병과 같이 생각하지 마시고

      동명이인처럼 전혀 다른 피부염으로 보셔야 합니다.

      태열 중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땀띠>입니다.

      이때는 온도 변화에 따라 심해졌다 좋아졌다 하는지 관찰하시면 알 수 있어요.

      보통 신생아는 더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시는데

      이는 일부는 맞지만 일부는 틀린 말입니다.

      혈액순환이 아직 원활하지 않아 손발은 차고 몸통과 얼굴은 열이 차는데요.

      따라서 손발싸개는 꼭 재수시고 몸통은 생각보다 시원하게 해주시는 게 땀띠도 예방되고

      아이들의 영아돌변사 예방에도 중요합니다.

      두번째 흔한 경우는 신생아 비립종으로

      하얀 우유 찌꺼기가 피부 안에 점점이 맺혀 있는 느낌으로 얼굴에 주로 있습니다.

      그냥 놔두시면 곧 없어집니다.

      ​짜거나 하시면 2차감염의 위험성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세번째는 <중독성 홍반> 입니다..

      실제로 볼 때는 아파 보이고 염증이 꽤 있는 것처럼 붉고 안에 노란 것이 맺혀있는 듯하나

      알고 보면 그냥 자연스레 없어지는 것이어서 역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신생아 여드름이 있는데요

      이는 만 3개월에 가장 심해지는 특징이 있어서 점점 심해지는 느낌이 들면 의심해 볼 만합니다.

      사춘기 여드름처럼 코 주위 이마 위주로 생기는데 보통 만 6개월 되면 사라집니다.

      ​절대 짜지 마시되 만약 6개월 이상가면 그때 소아청소년과로 문의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들어가긴 하는데, 세수 자주 시켜 주시고, 집안 온도 낮추시고, 아가 옷도 시원하게 입히십시요.

      습도도 체크하시구요

      그리고 수딩젤 바르면 좀 괜찮아 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