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21

불안이 높은 아이 불안을 줄일수 있는 방법있을까요

평소에 불안감이 많은 아이입니다

낯선 장소 낯선 물건등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려요


어릴때 많은 경험을 못하게 해줘서

그런것 같다고 하는데


불안감을 없애주기 위해


아이에게 어떤 경험들은

시켜주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2.08.21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낯선 환경이나 사람을 대할때 어려워 합니다.

    처음 경험하는 일이나 환경, 사람이 있을 때 부모가 함께 해주세요. 그리고 그때그때마다 무서운 것이 아님을

    알려주세요. 대신 아이 눈높이에서 자세히 설명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새로운 것을 접할 때

    불안함을 없앨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경우 조금 느린 기질을 타고났을수있습니다

    이럴땐 아이가 충분히 탐색을 할때까지 기다리는것이 좋습니다

    이런 기질의 경우는 처음엔 느리게 보일수있고 불안정해보일수있으나

    오히려 적응하면 남들보다 더욱 활동성을 보일수있기에

    부모가 천천히 보는마인드를 가지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불안한 성향은 주변 환경에 따라 바뀔 것입니다.

    부모하고 애착을 잘 형성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내향.외향 할것없이 주변 친구들이랑 잘 지내는데 오히려 부모가 불안해하고 아이를 바꾸려고 하는 부모님의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는 경우가 있어요

    부모님은 평소에 아이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아이가 표현하지 않아도 아이의 감정과 의도까지 파악해야 합니다.

    '왜 그랬어?' 가 아니라 '무엇이 하고 싶었니?' 라고 아이의 감정과 의도를 파악해야 합니다.

    왜 그랬어? 는 아이에게 변명을 유발하고 아이를 믿지 못한다 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무엇이 하고 싶었니? 란 말을 들은 아이는 내가 말하지 않아도 우리 엄마, 아빠는 나의 마음을 알아준다고 느낄 겁니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기 주장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칭찬할 때 구체적인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내성적인 아이들이 발표를 싫어하고 표현이 적은 것을 두고 사회성이 없다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오히려 남의 말을 더 경청할 줄 아는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기 표현을 할 수 있게 가르치면 당당하고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성장하게 될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 아이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정서적인 안정감을 줘야 합니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칭찬을 자주 해주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시길 바랍니다.

    처음보는 환경에서도 적응을 잘하고 잘 이겨낼 수 있도록

    응원도 해주시고 항상 칭찬도 많이 해주신다면 아이가 자신감을

    가지고 불안한 감정을 잘 이겨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여러가지 장소를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많은 경험을 시켜주시는 것이

    불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낯선 장소 사람들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여러가지 장소에 데려가서 여러가지 경험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