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실생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기술은 뭐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의 실사용 사례- 비트코인이 탄생한지 벌써 10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도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완성도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한 제도 조차 제대로 갖추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지금에서야 조금씩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생활에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뉴스채널 - 토큰포스트(TOKENPOST) - 토큰 포스트의 뉴스를 구독, 댓글, 큐레이팅 등을 통해 "뉴스(NEWS)" 토큰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 가장 큰 특징으로는 모든 뉴스 기사는 이오스 네트워크에 기록되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반의 뉴스매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현재 토큰 포스트에서는 뉴스 기사마다 "트랜잭션ID"를 명시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언제든지 기사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지하고 있습니다. 
- 토큰 포스트 사이트 : https://www.tokenpost.kr/     
 
 - 암호화폐로 결재 가능한 카페 - 디센트레(Decentre) - 디센트레는 2018년 8월 20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블록체인 전문 카페인 디센트레는 일반결재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로 결재할 수 있습니다. 
- 매장 위치 및 결재 수단 - ① 주소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105 (지번 : 논현동 200-6 1층) - ② 결재 : 현금(카드), 이더(ETH), 피톤(PTON), 코즈(COZ) 등 - ☞ 결재 가능한 암호화폐를 20종류 더 추가할 계획 입니다.   
- 디센트레 카페의 특징 - ① 기존 카페에서 볼 수 없는 Display placement를 통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정보 제공 및 Meetup의 장소임을 주지시키는 역활을 합니다. - ② 디스플레이가 많은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로에 대한 대 안과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코쿤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블록체인을 적용한 포스팅 전문 사이트 - 스팀잇(steemit) - 포스팅을 작성하면 사용자들의 큐레이팅을 통해 스팀코인을 보상받게 됩니다. 
- 스팀달러(Steem Doller)은 스팀의 시세 변동성을 완화 시킬 목적으로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의 일종입니다. 즉 스팀달러는 1달러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스팀의 가치하락시 발생될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 스팀파워(Steem Power)는 스팀 홀더를 유치하고 계정 어뷰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팀 암호화폐의 안정적인 시세유지의 역할을 합니다. 
- 스팀잇 사이트 : https://steemit.com/   
 
 -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새로운 신원인증 시스템 - 대한민국 병무청 분산신원인증(DID) - 분산신원인증(DID:Decentralized ID)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신원증명을 말하며 탈중화 신원인증이라고도 불립니다. 앞으로 공인인증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신분인증(증)을 대체하게 됩니다.\ 
- 우리나라 병무청에서는 라온시큐어스 기업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원증명 기술을 도입하였습니다. 
- 라온시큐어스는 EOSIO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 공인인증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신원인증을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 ① 간편성 증대 : 신원인증간 신분증(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등)을 지참하지 않아도 됩니다. - ② 인증절차 간소화 :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별도의 기관을 통해 입증하지 않아도 됩니다. - ③ 편리성 증대 : 신분증 관리의 편리함과 발급시간이 단축됩니다. - ④ 인증 강화 : 신분증 위변조 방지를 통해 신분증 도용이 불가능 해집니다. - ⑤ 개인정보 보호 강화 : 신분증 분실 및 해킹 따른 개인정보 노출이 최소화 됩니다.   
 
- 그 외 블록체인(암호화폐)을 적용한 다양한 게임들이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실생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기술은 뭐가 있나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블록체인의 공공 서비스의 경우 아래 그림에 보면 2018년 2019년에 시범 사업 계획의 경우 현재 사용중에 있습니다.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공지사항 - 이외에도 은행에서는 뱅크사인(http://www.banksign.or.kr/index.php)이라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