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13

이성계가 회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성계가 회군한이유는 무엇이며 만약에 토벌에 성공했다면 승리가 가능했는지 반란을 일으킨건지 너무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왕과 최영은 평양에 머물며 독전하고 이성계와 조민수가 이끄는 좌우군은 10만 대군을 자칭하며 평양을 출발해 다음날 위화도에 둔진하나 그 사이 도망치는 군사가 속출했고 큰비를 만나 압록강을 건너기 어렵게 되자 이성계는 이러한 실정을 보고하며 요동정벌을 포기할 것을 우왕에게 요청합니다.

    그러나 우왕과 최영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결국 이성계는 조민수와 상의 후 회군을 단행합니다.

    다수의 학자들은 이성계의 입장에 동조하는 편으로, 요동에 대한 무력 시위부터 쉽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당대의 상황을 보면 당시 고려의 국력에 대해 회의감을 가질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당시 명나라에서 높은 지위에 있던 장군인 남옥, 서달, 상우춘과 주원장의 라이벌이었던 진우량 또한 명장들이었고, 풍승 , 목영, 탕화, 장옥 등의 능력이나 전공을 감안하면 굴복시키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화도 회군 > 고려말기 1388년 요동정벌을 위해 출격한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일으킨 쿠테타 입니다.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건으로 유명 합니다.

    발생원인 > 명나라 태조 홍무제 주원장과 철령위 문제를 놓고 분쟁을 벌이던 고려에서 요동정벌군을 이끌고 있었던 이성계 주민세 등의 무신들은 서경에서 국경지대 압록강의 섬인 위화도까지 19일에 걸려서 북상했습니다. 그러나 이내 그대로 군대를 일만이 회군해 개경의 수도 방위군과 최영을 제압하고 조정을 장악했습니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한 이유 중 4가지가 있습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치는 것은 불가능하고, 농번기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무리이며, 명나라와 싸우는 사이에 일본군이 쳐들올 위험이 있고, 장마철이라 무기를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전염병이 유행될 것이기 때문에 요동정벌을 반대했습니다.

    결국 이성계는 5만명의 군사를 이끌고 요동 지역을 공격하러 갔다가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렸고, 개경으로 군사를 이끌고 와서 우왕과 최영을 제거하고 정치적 실권 장악한 후 조선을 세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는 이성계가 고려가 명을 공격하려 하자 불가설을 내세우며 반대하다가 결국 공격이 감행되자 승산이 없음을 알고 회군 했다고 나오는데요.

    사실 그건 지어냈거나 미화시킨 설일 확률이 크고요. 권력 욕심이죠. 자신이 고려대군의 지휘권을 쥐고 있는데 누가 대위에 욕심이 생기지 않을까요?

    명나라 원정시 최영이 이끄는 부대와 이성계가 이끄는 부대가 있었는데

    최영의 군대는 사실 이성계군대에 비하면 한주먹거리도 안되는 군대였습니다. 그리하여 최영이 이성계에게 패하고 참수된후 조선건국되는거죠.

    조선건국한 세력이 역사쓸대 권력욕심때문에 위화도회군 했다고하면 조선왕조가 무뢰배의 왕조가 되니 뭔가 왕조의 권위를 세워줄만한 설로 대체한거죠.

    .